시만텍, IoT 기기 디도스 공격 증가 주의 당부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6-09-25 16:40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시만텍]


아주경제 이정하 기자 = 시만텍은 IoT(사물인터넷) 기기의 허술한 보안을 이용해 악성코드를 퍼뜨리고 기기 소유자 모르게 좀비 네트워크 또는 봇넷로 만드는 사이버 범죄 조직 활동에 대한 조사 결과를 발표하고, IoT 기기 보안에 대한 주의를 당부한다고 25일 밝혔다.

시만텍의 보안 대응팀은 사이버 공격자들이 홈 네트워크 및 일상적인 커넥티드 기기를 가로채 대기업과 같이 수익성 있는 표적을 겨냥한 디도스(DDos) 공격에 이용하고 있음을 확인했다. 공격자들은 보안 수준이 낮아 쉽게 감염시킬 수 있는 소비자 기기를 연결해 값싼 대역폭을 구축, 공격을 감행하고 있다.

악성코드 공격을 실행한 IP 주소의 소재지를 보면 IoT 공격의 과반수 이상이 중국(34%)과 미국(28%)에서 발생했다. 이어 러시아(9%), 독일(6%), 네덜란드(5%), 우크라이나(5%), 베트남(4%) 순이며, 한국(3%)도 10위에 올랐다. 공격자는 실제 소재지를 숨기기 위해 프록시 서버 IP 주소를 이용한 것으로 드러났다.

대부분의 IoT 악성코드는 웹 서버, 라우터, 모뎀, 네트워크스토리지(NAS), CCTV 시스템, 산업용제어시스템(ICS)과 같은 non-PC 임베디드 디바이스(non-PC embedded devices)를 타깃하고 있다. 다수의 기기는 인터넷 접속은 가능하나, 운영 체제(OS)와 처리 능력의 한계로 인해 고급 보안 기능은 갖추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IoT 기기의 보안이 미흡함을 잘 알고 있는 공격자들은 자동으로 설정되는 비밀번호나 흔하게 사용되는 비밀번호를 악용해 악성코드 프로그램을 만들어 IoT 기기를 손쉽게 가로챈다. 많은 IoT 기기가 허술한 보안으로 손쉽게 공격 표적이 되고, 피해자들이 기기의 감염 사실조차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도 많았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