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6/09/26/20160926160154187825.jpg)
함평 상곡리 석관묘1호 조사 현장 [사진=문화재청 제공]
아주경제 박상훈 기자 =전남 함평 상곡리 건물 신축부지 내 유적에서 청동제 거울모양동기가 출토됐다.
한국문화재재단(이사장 서도식)이 진행중인 발굴조사는 개인주택 신축부지(790㎡)에 대한 소규모 발굴조사로, 현재까지 청동기 시대 토광묘(土壙墓) 1기, 주거지 2기, 구상유구(溝狀遺構, 고랑 모양의 터) 1기, 초기철기 시대 석관묘 4기와 주구(周溝, 무덤 주변의 도랑) 1기, 삼국 시대 주구 1기 등 모두 21기의 유구가 확인됐다.
특히 초기 철기 시대 석관묘 1호에서 중국 동북지방에서 주로 확인되는 거울모양동기가 4점 출토돼 눈길을 끈다. 거울모양동기는 오목한 면의 가장자리에 꼭지(紐)가 1개씩 부착돼 있으며 4점 모두 형태와 크기(6.4×6.2cm)가 같아 동일한 틀을 이용한 밀납주조(蜜蠟鑄造) 방식으로 제작한 것으로 추정된다. 문화재청(청장 나선화)은 "거울모양동기는 중국 동북지방의 앞선 청동문화와 연결되는 것으로 무덤의 피장자가 당시 지역사회 유력자였음을 추측할 수 있다"고 밝혔다.
![](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6/09/26/20160926161022169065.jpg)
초기 철기 시대 석관묘 1호에서 출토된 거울모양동기 [사진=문화재청 제공]
삼국 시대 주구(周溝)에서 출토된 유물 중에는 제사를 지내면서 항아리 등을 일부러 깨뜨린 흔적이 남아 있었으며, 백제 중앙의 조족문토기(鳥足文土器)와 함께 일본 구주지역의 스에키계(須惠器系) 개배(蓋杯, 뚜껑이 있는 접시), 가야의 파상점열문(波狀點列紋) 항아리 등이 출토됐다.
이는 삼국 시대에도 영산강 유역을 중심으로 백제 중앙과 대가야, 멀리는 바다 건너 왜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지역과 활발하게 문물교류를 했음을 보여 주는 중요한 학술자료로 평가된다.
문화재청 측은 "이번 발굴조사를 통해 함평 상곡리 유적은 영산강 유역을 중심으로 활발했던 고대 철기 시대부터 삼국 시대에 이르기까지 문물교류의 실체를 보여주는 사례가 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