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송종호 기자 = 주형환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한국으로 투자매력으로 혁신역량과 자유무역협정(FTA) 네트워크, 투자환경 등을 꼽았다.
29일 산업부는 주 장관이 서울 삼성동 그랜드인터컨티넨탈호텔에서 외국인 투자가 라운드테이블을 마련하고 이같이 말했다고 밝혔다.
이날 행사는 지난 27일 시작한 2016 외국인투자주간(FIW) 행사의 하나로 마련됐다. 항공우주기술 분야 중국 기업 광치, 독일 의약기업 머크, 세계 11위의 화학기업인 일본의 도레이, 관광휴양업계 글로벌기업인 프랑스의 피에르바캉스 등 8개국 16개 기업 관계자가 참석했다.
주 장관은 이날 한국의 첫 번째 투자매력으로 혁신역량을 꼽았다. 그는 한국은 국내총생산(GDP) 대비 연구개발(R&D)투자 비중이 세계 1위이며, 3년 연속 블룸버그 혁신지수 세계 1위를 기록했다는 점을 강조했다.
이어 ‘FTA 네트워크’에 대해서는 “한국은 현재 전세계 50여개국과 FTA를 체결해 세계 GDP의 4분의3을 아우르는 소비시장과 연결됐다”며 “세계 시장 진출을 위한 글로벌 생산거점으로 기능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마지막으로 ‘세계최고 수준의 투자환경’을 강조했다. 주 장관은 “한국은 기초 체력이 탄탄한데다 지속적인 경제구조 개혁을 통해 투자기회를 창출하고 있다”며 “외국인투자유치를 위해 세제·임대료 감면 등 각종 인센티브를 지속적으로 제공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29일 산업부는 주 장관이 서울 삼성동 그랜드인터컨티넨탈호텔에서 외국인 투자가 라운드테이블을 마련하고 이같이 말했다고 밝혔다.
이날 행사는 지난 27일 시작한 2016 외국인투자주간(FIW) 행사의 하나로 마련됐다. 항공우주기술 분야 중국 기업 광치, 독일 의약기업 머크, 세계 11위의 화학기업인 일본의 도레이, 관광휴양업계 글로벌기업인 프랑스의 피에르바캉스 등 8개국 16개 기업 관계자가 참석했다.
주 장관은 이날 한국의 첫 번째 투자매력으로 혁신역량을 꼽았다. 그는 한국은 국내총생산(GDP) 대비 연구개발(R&D)투자 비중이 세계 1위이며, 3년 연속 블룸버그 혁신지수 세계 1위를 기록했다는 점을 강조했다.
마지막으로 ‘세계최고 수준의 투자환경’을 강조했다. 주 장관은 “한국은 기초 체력이 탄탄한데다 지속적인 경제구조 개혁을 통해 투자기회를 창출하고 있다”며 “외국인투자유치를 위해 세제·임대료 감면 등 각종 인센티브를 지속적으로 제공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