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비에서 꿩으로
나의 잣대로 사물을 재지 말라
석(石)이라는 목수가 제자와 함께 제(齊)나라로 가다가 곡원(曲轅)이라는 곳을 지날 때, 사묘(社廟·토지 신에게 제사지내는 사당)부근에서 상수리나무를 보았습니다. 그늘에는 소 수천마리가 머물기 충분하고, 밑동은 백 아름이나 되었습니다. 바닥에서 열 길도 넘는 위치에 맨 아래의 가지가 뻗어 나왔는데, 베어 배를 만들면 10여척은 만들 정도였습니다. 상수리나무를 보려고 구경꾼들이 모여들어 장터처럼 북적거렸지만, 목수는 거들떠보지도 않고 앞으로 걸어갈 뿐이었습니다. 제자가 목수에게 물었습니다.
제자: 제가 도끼를 들고 선생님을 따라다녔지만, 저렇게 좋은 목재를 본적이 없습니다. 그런데 선생님은 거들떠보지도 않고 지나치시니, 어찌된 영문이십니까?
목수: 그만! 더 말하지 말게, 쓸모없는 잡목일 뿐이야. 그것으로 배를 만들면 바로 가라앉을 것이고, 관(棺)을 짜면 빨리 썩어버릴 것이고, 용구함을 만들면 쉽게 부서지고, 문짝을 만들면 나무진이 흘러나오고, 기둥을 만들면 좀이 슬 것이니 목재로써 조금도 쓸모가 없어. 그래서 저리 장수를 누린 것이야”
목수가 집에 돌아와 밤에 꿈을 꾸는데, 낮에 본 상수리나무가 나타났습니다.
상수리나무: 석선생! 쓸모가 있다고 말하는 평범한 나무들과 나를 비교하는가? 산사나무, 배나무, 귤나무, 유자나무와 같은 열매나무인가? 그런 나무들은 사람들에게 쓸모가 있다고 하지만, 열매는 익자마자 사람들에게 따먹히느라고, 큰 가지는 꺾이고, 작은 가지는 찢기며 온갖 수모를 겪지. 이 모든 것은 열매를 맺는 유용함 때문에 자신의 삶이 고달파진 것이야. 고생하다가 천수를 누리지 못하고 요절하지. 스스로 고난을 초래한 것이야. 세상에서 ‘유용하다’는 것은 다 이와 같은 것이라네. 나는 세상에서 아무 쓸모없는 존재가 되려고 갖은 방법을 추구한지 이미 오래 되었다네. 몇 번이나 죽을 고비를 넘기고 오늘에 이르렀는데, 이제야 사람들이 그늘 밑에서 쉬고 구경도 하는 등 큰 쓸모가 생겨난 것이지. 만일 저런 나무들처럼 쓸모가 있었더라면 지금과 같이 거대한 나무로 자랄 수 있었겠는가? 당신이나 나나 하찮은 물건에 지나지 않는데, 어찌 내게 하찮은 물건이라고 한단 말인가? 당신은 곧 죽을 산인(散人·하찮은 사람)인데, 어찌 나를 보고 산목(散木·하찮은 나무)이라 할 수 있는가?
목수가 깨어나서 제자에게 꿈 이야기를 전했습니다.
제자: 그렇게 쓸모없기를 바랐다면, 어찌 사묘 부근에서 사수(社樹·사당을 지키는 나무) 노릇을 했을까요?
목수: 그만! 그렇게 말하지 말라. 그는 단지 사묘에 의탁하고 있을 뿐이야. 그런데 사람들은 그의 본뜻을 이해하지 못하고 사수라고 말하는 것이라네. 만일 그가 사수 노릇을 하지 않았다면, 잘려나갔을지도 모르는 일이야. 저 나무는 자신을 보전하는 방법이 우리와 다르지. ‘나의 잣대로 사물을 재지 말라’는 뜻인게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