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6/09/30/20160930085615619606.jpg)
[자료제공= 김영주 의원]
아주경제 윤주혜 기자 = 신용등급이 높은 사람일 수록 대부업을 이용할 경우 등급 하락폭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더불어민주당 김영주 의원(영등포갑, 국회 정무위원회)이 2016년 1월부터 2016년 6월말까지 6개월 동안 대부업 및 저축은행 신규대출자를 대상으로 조사한 ‘대부업 및 저축은행 대출 발생시 신용등급 하락 현황’(나이스신용평가정보 금융감독원 제출자료)을 분석한 결과, 대부업체를 통해 신규로 돈을 빌렸던 신용도가 1등급이었던 사람들은 평균 3.7등급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밖에 상위등급으로 분류되는 2등급에서 4등급인 사람들을 살펴보면 2등급이었던 사람들은 3.3등급, 3등급은 2.5등급, 4등급은 1.7등급까지 떨어졌다.
제2금융권으로 불리는 저축은행 대출도 신용도 하락에 크게 영향을 미쳤다. 같은 기간 저축은행에서 돈을 빌렸던 신용도 1등급이었던 사람들은 평균 2.4등급 내려갔다. 2등급이었던 사람들은 2.7등급, 3등급은 2.1등급, 4등급은 1.5등급까지 내려간 것으로 나타났다.
대부업과 저축은행을 가장 많이 이용하는 5-8등급에 해당하는 사람들의 신용등급 하락율은 상위신용자에 비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부업을 이용한 신용등급 5등급인 사람들은 0.8등급 하락, 6등급은 0.2등급, 7등급은 0.09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저축은행을 이용한 신용등급 5등급인 사람들은 0.7등급, 6등급은 0.2, 7등급은 0.09등급 하락했다.
나이스평가정보 측은 “하위등급에 분포한 사람들은 원래 연체정보가 있거나 신용도 하락요인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이기에 대부업체나 저축은행에서 돈을 빌리더라도 신용도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는 않는다"면서도 "하지만 상위등급에 분포된 사람들은 신용등급하락 요인이 전무한 상태에서 대부업체나 저축은행을 이용하게 되면 크게 하락한다”고 설명했다.
김영주 의원은 “급한 마음에 쉽고 간편하게 돈을 빌리 수 있는 대부업체나 저축은행을 무심코 이용한다면 개인 신용도에 크게 영향을 미칠 수 있다”며 “중요한 것은 무심코 이용했다가 신용도가 하락하고 대부업 및 저축은행 이용 기록이 남아 앞으로 1금융권 거래를 못 할 수 있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가계부채가 1,250조를 넘고 있는 상황에서 한 번 잘못 돈을 빌렸다가 신용도가 회복되고 이용기록이 삭제될 때까지 높은 이자율을 감당하면서까지 돈을 빌려야 할지도 모른다”며 “금융감독당국은 대부업체·저축은행이 이용자들에게 대출시 신용도 하락과 관련된 내용을 사전에 고지하도록 지도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