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죽여주는 여자’는 생활고와 사회적 외면에 등 떠밀려 박카스 할머니로 전락한 소영의 처절한 삶을 끈기 있게 바라보면서 노인 성매매를 야기한 사회에 책임을 묻는 것은 물론이고 소영에게 ‘죽여달라’고 부탁하는 고객들을 나열하면서 노인 자살의 가장 전형적인 3가지 유형인 ▷질병으로 인한 독립생활 붕괴로 무너진 자존심 ▷치매로 인한 자아 상실에 대한 공포 ▷사랑하는 사람의 사별로 인한 절대적 고독사를 정확하게 집어낸다.
트랜스젠더인 집주인, 장애를 가진 가난한 성인 피규어 작가, 성병 치료 차 들른 병원에서 만나 무작정 데려온 코피노 소년과 함께하는 소영의 일상은 ‘박카스 할머니’에게 현미경을 들이댄 이 영화를 소수자 문제 전체를 조망하는 망원경이 되게 한다.
영화는 소재를 무기로 해 관객의 눈물이나 분노를 뽑아내는 요량은 피우지 않는다. 소영은 물론이고 사회 음지로 내몰린 그의 주변 사람들도 자신의 처지를 비관하며 흥분하지 않는다. 그 안에서 만족을 찾고 때때로 낄낄거리기까지 하는, 언제나 있어왔지만 아무도 들여다본 적 없는 그들의 일상을 덤덤하게 보여준다.
“모르고 죽었으면 좋았을 것들을 이 영화로 알게 됐다”는 윤여정은 이 영화로 제20회 몬트리올 판타지아 국제영화제에서 여우주연상을 받았다. 6일 개봉.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