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6/10/05/20161005090531178160.jpg)
가습기 살균제 국조 특위는 4일부로 90일 임기가 종료됐지만, 야당은 피해자 구제와 재발 방지 대책 마련을 위해 특위 연장을 주장했다. 그러나 여당은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산하에 전문 소위원회를 구성해 문제를 다뤄야 한다고 반대하면서 합의를 이끌어내지 못했다.
우 원내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5년 간 많은 분들이 사망하셨고 정부와 다국적 기업이 이들의 하소연에 아무도 귀 기울이지 않았던 억울한 사연이 많았다"면서 "가습기 특위가 (20대 국회 개원 후) 제일 먼저 구성돼 우원식 특위 위원장을 비롯한 위원들이 성실하게 임해 많은 성과가 있었다"고 평가했다.
이어 "그러나 5년의 한을 풀기엔 시간이 너무 짧았다"면서 "이제 문제점이 지적됐고 다국적 기업의 사과도 받았지만 이들의 피해를 어떻게 보상할 것이냐 하는 문제가 남아있는데 지금 해산하기에 이르렀다"고 성토했다.
그러면서 "여당과 야당이 강대강으로 붙어 어려움을 겪었지만 그 과정에서도 끊임없이 더민주는 특위를 한 달 연장시켜 후속대책을 만드는 단계로 가자고 호소했지만 새누리당이 거부했다"면서 "가습기 피해자가 여야 대립과 무슨 상관이 있나. 왜 이들이 여야 대립의 희생자 돼야 하나"라며 특위 활동 기간을 연장해 후속 대책을 만들자고 촉구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