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은보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이 5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조선·해운업 협력기업 금융지원 점검회의에 참석해 발언하고 있다. [사진=금융위원회]
아주경제 노경조 기자 = 정부는 정책금융기관과 시중은행을 통해 조선·해운업 구조조정 협력업체에 1200억원의 자금을 지원한데 이어 2차 협력업체의 금융 지원도 적극 검토하기로 했다.
금융위원회는 정은보 부위원장 주재로 5일 금융감독원과 중소기업진흥공단 등 관계기관 합동으로 '금융시장 비상대응반' 회의를 개최하고 이 같이 밝혔다.
이번 회의는 조선‧해운업 구조조정기업 협력업체 등에 대한 각 기관의 금융지원 현황을 점검하고, 정책금융기관 등에 접수되는 업체들의 주요 애로사항을 파악해 향후 대응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금융위에 따르면 지난 4일 기준 신용보증기금과 IBK기업은행 등 정책금융기관은 관련 협력업체에 총 203건, 850억원을 지원했다. 이 중 126건, 457억원 규모의 기존 대출과 보증에 대한 만기 연장이 이뤄졌다. 특례보증 등 신규자금 공급은 77건, 393억원 규모다.
시중은행은 만기 연장, 신규 대출 등의 방식으로 총 21건, 393억원을 지원했다. 한진해운 협력업체와 중소화주, 포워더 등에 대한 지원은 총 127건, 683억원으로 집계됐다.
금융위는 이날 회의에서 제기된 애로사항과 관련해 협력업체들에 특례보증뿐 아니라 정책금융기관의 사업재편 전용 상품을 이용해 추가로 자금을 지원하기로 했다. 조선업 수주 감소 등으로 사업 다각화, 품목 다변화 등 사업전환을 준비 중인 점을 고려한 조치다.
산업은행은 2조5000억원 규모의 사업재편 지원 자금을 운용하고 있으며 금리를 최대 0.5%포인트 우대해준다.
신용보증기금, 기술보증기금의 사업재편 기업 우대보증은 3000억원 규모다. 보증료율을 0.2%포인트 낮춰주고 보증비율은 85%에서 90%로 올려준다.
또 매출액 감소와 매출채권 미결제 등으로 협력업체의 금융 애로가 예상되는 만큼 올해까지 지원하기로 했던 정책금융기관의 만기 연장을 추가로 늘리는 방안도 검토한다.
긴급 운영자금이 필요한 한진해운 포워딩업체에 대해선 한진해운으로부터 업체 명단을 받아 1대 1 전화 상담을 하고, 금융 지원을 추진할 예정이다.
2차 납품업체 등 구조조정 기업과 직접적인 거래 관계가 없는 업체도 경영 애로가 인정될 경우 지원 대상에 적극적으로 포함할 계획이다.
금융위 관계자는 "부위원장 주재의 금융시장 비상대응반의 일일보고체계를 유지해 지원 상황을 수시로 점검하고, 애로사항과 건의사항을 신속하게 파악하여 적극적으로 지원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