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검단 스마트도시 '한국판 두바이' 조성 사업 설명회…"불안 속 극적 개최"

  • 여의도 1.6배 크기, 5조원대 대규모 프로젝트

  • 막판 계약 내용 합의 불발…사업 추진 위기 '논란'

▲스마트시티 코리아 조감도. 자료=스마트시티 코리아

▲스마트시티 코리아 조감도. 자료=스마트시티 코리아

아주경제 최수연 기자 = "검단 스마트시티를 4차 산업 중심의 미래 기업과 미래 일자리를 창출하는 거대한 혁신센터이자 4차 산업 혁명의 미래를 체험할 수 있는 테스트베드로 조성하겠다."(자바 빈 하페즈 스마트시티 두바이(SCD) CEO)

인천 검단신도시가 도약을 위한 첫 발거음을 내딛었다. 지난 6일 코리아스마트시티(KSC)와 인천시는 서울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에서 '스마트시티 코리아' 사업설명회를 개최했다.

검단 스마트시티는 인천시와 두바이 국영기업 SCD의 특수목적법인(SPC) 코리아스마트시티가 공동으로 개발하는 5조원대 대규모 프로젝트다. 여의도 1.6배 크기인 검단신도시 470만㎡를 한국판 두바이로 만들겠다며 시작됐다.

이날 설명회엔 유정복 인천시장과 모하메드 알 거가위 두바이홀딩스그룹 회장 겸 아랍에미레이트(UAE) 미래부장관이 참석했다.

마스터플랜에 따르면 검단 스마트시티에는 주택용지 116만7028㎡를 비롯해 상업시설 34만7468㎡, 업무시설 37만4776㎡, 교육시설 40만8206㎡, 자족시설 91만3697㎡, 공원 및 녹지 79만1443㎡, 도로 67만1878㎡, 기타 4만2836㎡ 등이 단계적으로 조성된다.

입주기업들부터 빅테이터 사물인터넷(IoT) 증강현실(AR) 3D프린팅 전기자동차 등 주로 4차 산업 중심의 글로벌 첨단기업을 집중 유치할 계획이다.

벤처생태계를 조성하기 위해 'In5빌리지'라는 시스템도 도입한다. 이 시스템은 비즈니스 셋업에서부터 멘토링, 펀딩, 글로벌 네트워킹 등을 통해 100억원 이상의 매출을 올리는 500개의 스타트업 기업을 양성하는 두바이 고유의 인큐베이팅 프로그램이다.

검단 스마트시티에 들어서게 될 날리지파크(Knowledge Park)에도 4차 산업에 특화된 50여개 글로벌 교육기관과 연구소들을 유치해 첨단기술 공동개발과 맞춤 인재 육성 등 시너지효과를 극대화할 것으로 기대한다.

뿐만 아니라 교통, 보안, 에너지, 통신, 의료, 커뮤니케이션 등 각종 도시 기능과 라이프스타일에 이르기까지 처음부터 도시 전체를 인공지능(AI)에 기반한 이른바 '알파고시티'로 조성한다.

하지만 인천시와 두바이 측이 토지 매매 등을 두고 갈등에 휩싸이면서 사업 무산 가능성도 대두되고 있는 분위기다. 인천시는 스마트시티 두바이와 지난해 6월 양해각서(MOU)를 체결하고 지난 1월 합의각서(MOA)를 체결했다. 기본협약서 체결 단계까지 거치면서 인천시와 스마트시티는 토지매매대금 2조6173억원을 합의했다.

하지만 지난 4일 이행보증금 2600억원에 대한 현금 유치, 기업유치 담보 방안 등에 대한 의견 조율에는 실패하면서 막판 계약내용 합의를 보지 못했다. 이에 따라 사업 추진 자체가 위기에 내몰린 거 아니냐는 논란에 휩싸였다. 유정복 시장은 지난 6일 예정된 설명회에 참석하지 않겠다고 입장을 정리했지만 극적으로 참석하면서 갈등의 불씨는 잠재운 상황이다.  

이에 따라 신종호 검단신도시연합대책위원회 위원장 지난 7일 "협상을 조속히 체결하라"며 무기한 단식에 들어갔다. 검단스마트시티 관계자는 "약간의 협상 과정에서 의견 조율이 필요해 지연되는 것일 뿐"이라고 일축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제3회 보훈신춘문예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