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부에 따르면 파워 대사는 방한 이틀째인 이날 오전 탈북민 정착교육 기관인 경기 안성의 북한이탈주민정착지원사무소(하나원)을 방문, 탈북민들과 대화의 시간을 가졌다.
이 자리에서 그는 “국제사회는 북한 주민들의 고통을 잘 알고 있으며, 이런 어둠에 빛을 비추기 위해 계속 노력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미국 정부와 유엔은 북한 정권의 변화와 북한 주민들의 인권 개선을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하나원 방문에 앞서 김형석 통일부 차관과 티타임을 갖고 탈북민의 북한 탈출과 남한정착 과정에 높은 관심을 표명했다. 양측은 북한 주민 인권 개선을 위한 방안에 대해서도 논의했다고 통일부는 전했다.
당초 그는 성명을 발표하고 강력한 대북 경고 메시지를 발신할 예정이었지만 일정을 돌연 취소했다. 이는 북한 노동당 창건일(10일)을 하루 앞두고 도발의 위험이 고조되는 상황에서 북한을 자극하지 않기 위한 조치로 분석된다.
그는 이어 황교안 국무총리와 면담을 진행하고 북한 핵·미사일 위협에 따른 국제사회의 대북제재 방안 등을 논의했다. 황 총리는 모두발언에서 “박근혜 대통령께서 파워 대사가 유엔 차원의 북핵 대응에서 많은 노력을 하신 점에 관해서 치하의 말을 전해달라는 말씀이 계셨다”면서 “앞으로도 대북제재라든지 국제 공조에 있어 적극적인 협력을 기대한다”고 밝혔다.
이에 파워 대사는 “뉴욕의 한국대표부와 더불어 올해 핵실험 이후부터 지금까지 가장 적합한 제재를 결정하기 위해서 함께 협력했다”며 “사실 3월에 통과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안 2270호에 담긴 주요 규정은 한국에서 받은 아이디어가 담긴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애석하게도 (대북제재가) 북한 체제의 불법 행동에 관해서 북한의 변화를 만들지는 못했다”고 덧붙였다.
그는 다음날인 10일에도 윤병세 외교부 장관과 홍용표 통일부 장관 등 우리 정부 고위 당국자들과 잇따라 만나 대북제재 방안 등에 대한 의견을 교환할 것으로 전해졌다.
앞서 파워 대사는 전날 인천공항을 통해 입국하면서 “북한 정권의 통치하에서 고통받아온 사람들(탈북민)을 만나기 위해 왔다”며 “그들의 얘기를 듣길 원하고, 그런 경험을 갖고 뉴욕으로 돌아가 (대북제재) 결의안 협상에 임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유엔 안보리 등 국제사회에서의 북한 인권문제 논의를 거론하며 “올해 다시 할 것”이라면서 “국제사회가 (북한의) 최악의 범죄에 대해 스포트라이트를 비추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유엔주재 미국대사의 방한과 판문점 방문은 상당히 이례적으로, 북한 인권문제에 적극적인 관심을 표명하면서 향후 안보리의 대북제재 결의가 북한 인권문제와 관련한 제재로 이어질지 귀추가 주목된다.
이와 관련, 로버트 킹 미국 국무부 북한인권 특사도 10~13일 일정으로 한국을 방문한다. 미 국무부는 킹 특사가 방한 기간 한국의 고위 당국자들을 만나 북한 인권 문제를 비롯해 양자간 및 지역 이슈 등을 논의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