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주시 생감공판 유통개선을 통한 일석삼조 효과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6-10-11 15:07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시간절약․공판가격상승․곶감품질 향상 등

아주경제 피민호 기자 = 경상북도 상주시는 지난 10일부터 곶감용 일반감, 12일부터는 선별감 경매를 실시한다.

상주는 찬이슬이 맺기 시작한다는 한로(寒露 10월8일)가 되면 곶감의 원료인 생감수확과 곶감 만들기를 시작한다.

상주에서 생산되는 생감량이 매년 3만3,000여 톤으로 이중 상주원예농협, 상주농협, 주)남문청과 등 3개 공판장으로 출하되는 생감량은 약 35퍼센트다.

매년 생감 출하시기가 되면 공판장 주변일대는 교통이 마비가 될 정도로 생감을 실은 차들로 줄지어서 공판장으로 입고가 될 때까지 밤을 지새우는 일이 반복돼 왔다.

시는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지난해부터 사벌, 낙동, 공성, 남상주, 외서, 공검농협 등 면단위 지역농협과 상주원농협, 상주농협 등에 생감선별기와 공판용 플라스틱 컨테이너상자를 지원 선별․선과해 공판장으로 입고 경매하는 방식으로 전환했다.

결과 매년 공판장 주변 교통 혼잡과 오랜 대기시간에 따른 시간 및 인력 낭비해소와 공판가격도 상자(20kg)당 2~3천원 더 받게 됐을 뿐만 아니라 곶감의 품질향상에도 한 몫을 하고 있다.

장운기 상주시 산림녹지과장은 “생감 산지별 지역농협을 통한 생감선별기와 공판용 플라스틱 컨테이너상자지원 사업을 통해 생감공판 유통을 개선해 줌으로서 생감 생산 임가의 불필요한 인력과 시간낭비를 줄여주고 높은 경매가격과 곶감의 품질향상에도 크게 기여하게 됐다.”고 말했다.

또 “좋은 곶감을 생산하기 위해서는 생감 수확시 꼭지부분까지 황갈색이 됐을 때 수확해 줄 것을 당부한다.”고 말했다.

한편, 상주시는 년 1만1300톤의 곶감을 생산해 3천여억원의 소득 을 올릴 뿐만 아니라 곶감이 만들어 지기까지 년 50만명의 일자리 창출로 지역경제 활성화에도 한 몫하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