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김봉철 기자 = 포스코가 세계 철강기업 중 기후변화 대응능력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평가됐다.
12일 포스코에 따르면 글로벌 지속가능성 평가기관인 CDP는 최근 글로벌 철강사 14곳을 대상으로 기후변화 대응 성과를 평가한 ‘CDP 철강 섹터 보고서’에서 포스코를 최우수기업으로 선정했다.
2위는 스웨덴의 사브, 3위는 독일의 티센크룹이 차지했고 현대제철은 4위에 올랐다.
CDP가 글로벌 철강사들을 대상으로 기후변화 대응관련 평가결과를 발표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보고서는 온실가스 배출·에너지 관리, 배출목표·계획, 탄소 배출 비용, 저탄소 기술개발, 물 부족 대응, 기후변화 거버넌스 등 6개 항목을 종합 분석했다.
포스코는 온실가스 배출·에너지 관리, 저탄소 기술개발, 물 부족 대응 등 3개 항목에서 A등급을 받았다.
포스코는 “온실가스·에너지 감축 노력, 폐열 활용 기술개발, 자체 첨단 기술 파이넥스 공법 상용화 등의 성과를 인정받은 것으로 풀이된다”면서 “환경 전담 조직을 운영하고 친환경기술 개발을 위해 노력한 점도 높이 평가받은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CDP는 2000년 영국에서 설립된 비영리기관으로 매년 글로벌 주요 기업의 환경 관련 대응 성과를 평가하고 있다. 지난해 2월부터 자동차, 전력, 화학, 광업, 시멘트 등 산업별로 ‘CDP 섹터보고서’를 발표하고 최우수기업을 선정했다. 그동안 자동차 부문에서는 닛산, 화학 부문에서는 듀폰, 광업 부문에서는 발레 등이 뽑혔다.
12일 포스코에 따르면 글로벌 지속가능성 평가기관인 CDP는 최근 글로벌 철강사 14곳을 대상으로 기후변화 대응 성과를 평가한 ‘CDP 철강 섹터 보고서’에서 포스코를 최우수기업으로 선정했다.
2위는 스웨덴의 사브, 3위는 독일의 티센크룹이 차지했고 현대제철은 4위에 올랐다.
CDP가 글로벌 철강사들을 대상으로 기후변화 대응관련 평가결과를 발표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보고서는 온실가스 배출·에너지 관리, 배출목표·계획, 탄소 배출 비용, 저탄소 기술개발, 물 부족 대응, 기후변화 거버넌스 등 6개 항목을 종합 분석했다.
포스코는 “온실가스·에너지 감축 노력, 폐열 활용 기술개발, 자체 첨단 기술 파이넥스 공법 상용화 등의 성과를 인정받은 것으로 풀이된다”면서 “환경 전담 조직을 운영하고 친환경기술 개발을 위해 노력한 점도 높이 평가받은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CDP는 2000년 영국에서 설립된 비영리기관으로 매년 글로벌 주요 기업의 환경 관련 대응 성과를 평가하고 있다. 지난해 2월부터 자동차, 전력, 화학, 광업, 시멘트 등 산업별로 ‘CDP 섹터보고서’를 발표하고 최우수기업을 선정했다. 그동안 자동차 부문에서는 닛산, 화학 부문에서는 듀폰, 광업 부문에서는 발레 등이 뽑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