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 최순실 국감 증인출석 및 전경련 개입 문제 놓고 내분 양상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6-10-12 17:32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새누리당 국회 산업통상자원위원회 이채익(앞) 간사를 비롯한 의원들이 지난 4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산업통상자원위원회 국정감사에 참석해 기관보고를 듣고 있다.[연합뉴스]
 

아주경제 이정주 기자 = 새누리당이 미르재단 의혹의 중심 인물인 최순실·차은택 등을 국정감사 증인으로 채택하는 문제를 놓고 내분 양상을 보이고 있다.

친박계 의원들을 중심으로 지도부가 미르재단을 적극 옹호하고 나선 가운데 비박계로 불리는 정병국, 이혜훈 의원 등이 증인채택에 찬성하거나 전국경제인연합회의 개입 정황 등을 거론하며 연일 이견을 표출하고 있기 때문이다.

새누리당은 지난달 정세균 의장의 국회법 위반을 명분으로 국감 거부를 고수하다 김영우 국방위원장 등이 국감 복귀 의사를 밝히면서 소동을 빚은 바 있다. 정치권에서는 결국 당시 수습하지 못한 내홍이 지속되는 것이 아니냐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대표적인 비박계로 분류되는 정병국 의원은 지난 10일 한 라디오 프로그램에 출연해 “미르재단 증인 채택을 새누리당이 극구 막으려고 하는 모습은 자연스럽지 않다"며 "오히려 이런 문제가 야기됐을 때 털고 가는 게 결국은 대통령에게도 부담이 되지 않는다"고 말했다.

이어 “전경련이 그렇게 짧은 기간에 많은 돈을 모은 것은 비정상적으로 보인다”며 “현재 정부의 문예진흥기금이 5000여억원에서 1000여억원으로 고갈된 상태임에도, 그런 부분은 관심도 없는 분들이 왜 따로 재단을 만들어 모금을 했는지는 상당히 이상하다”고 설명했다.

또 “당사자를 통한 명확한 검증을 막고만 있으니 오히려 어떤 커넥션이 있는 듯 부풀려지고 있다”며 “청와대의 해명이 진실이라면 오히려 새누리당이 증인채택을 수용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혜훈 새누리당 의원도 12일 한 라디오 프로그램에서 “전경련이 떳떳하고 국민 앞에 설명할 수 있으면 나와서 설명하고, 정말 자기들 얘기대로 문화융성과 예술 활성화를 위해 모은 거라면 거기서 끝나면 된다”며 “어떤 기업은 자기들이 갖고 있는 회사 내 공익재단에도 몇 년 동안 1원 한푼도 낸 적 없으면서 어떻게 그렇게 짧은 기간 안에 수백억원을 낼 수 있었는지 이해가 안 된다”고 말했다.

또 “재단의 이사나 이사장도 아니고 어떤 직위도 없는 전경련이 갑자기 문제가 생기니까 기자회견을 해서 투명하게 쓰겠다고 한 정황이 지시를 받은 것처럼 이상하다”면서 “(재단을)어떤 목적으로 어떻게 만들었는지 국민들이 납득할 수 있게 설명을 당당하게 했으면 좋겠다”고 지적했다.

한편, 새누리당 지도부는 야당이 국감에서 '허위 폭로'로 일관하는 이상 증인 채택에 협조할 수 없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이에 따라 지난 10일과 11일 연이틀 원내수석부대표들이 만나 증인채택 등을 두고 협의했지만 이견을 좁히지 못했다.

정진석 원내대표는 지난 10일 "이번주에도 야당은 허위 폭로, 정쟁 국감을 예고했다"면서 "야당의 정치공세용, 허위폭로용 국감 증인 채택에는 결코 협조할 수 없다"고 말했다.

김도읍 새누리당 수석부대표도 "야당이 전 상임위에서 의혹을 제기하고 조사하고 했지만 사실상 실체가 전혀 나타나지 않는다"며 "어느 정도 근거가 있고 실체가 있다고 하면 새누리당이 왜 응하지 않겠냐“고 반박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