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송종호 기자 = 공기업의 전국경제인연합회(이하 전경련) 탈퇴가 잇따르고 있다. 전경련의 한 축을 맡아왔던 공기업의 이탈로 해체 수순을 밟는 것 아니냐는 전망이 나온다.
13일 전경련과 복수의 공기업 등에 따르면 한국전력, 한국석유공사, 한국가스공사 등 공기업 9곳이 탈퇴했다. (본지 12일자 기사 참조)
앞서 전경련은 공기업 회원사 일부가 탈퇴를 요청하자 이를 거부하는 공문을 보내 도마에 오른 바 있다.
한 공기업 관계자는 “전경련이 재벌의 이익을 대변하는 단체로 변질되면서 부담을 느껴왔다”며 “회원사 공동의 이익보다 일부 재벌을 우선하고, 대외적 이미지가 부정적인데 부담을 느껴왔다”고 말했다.
이번에 탈퇴가 결정된 공기업은 인천공항공사, 한전 외에 한국석유공사, 가스공사, 서부발전, 에너지공단, 석유관리원, 산업단지공단, 선박안전기술공단 등이다. 이로써 전경련 회원사인 공기업 수는 19개에서 10개로 줄었다.
해당 공기업은 전경련이 어버이연합 뒷돈 지원 논란과 미르재단, K스포츠 재단 설립과 관련해 권력형 비리 의혹이 일자 부담을 느껴 전경련에 탈퇴 신청을 한 것으로 알려졌다.
향후 전경련을 탈퇴하는 공기업이나 공공기관은 더욱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지난 11일 세종문화회관이 탈퇴신청서를 냈고, 수출입은행도 탈퇴를 검토하고 있다. 이덕훈 수출입은행장은 최근 국정감사에서 “전경련 탈퇴를 검토하겠다”고 말한 바 있다.
이는 이동걸 KDB산업은행 회장과 권선주 IBK기업은행장이 국정감사에서 "전경련 탈퇴를 검토하겠다"고 밝힌 뒤 나온 발언으로, 향후 전경련 탈퇴에 속도가 붙을 전망이다.
신용보증기·기술신용보증기금·한국거래소 등 금융관련 공공기관도 전경련 탈퇴요구를 받고 이를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정치권의 압박도 거세다. 김관영 국민의당 원내수석부대표는 13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원내정책회의에서 "전경련 정관 1조에 나온 '올바른 경제정책 구현'은 온데 간데 없다"며 "전경련은 유통기한이 끝났고, 하자있는 제품이다. 해체를 위해 당력을 기울이겠다"고 말했다.
공기업의 전경련 탈퇴와 정치권의 압박이 거세지며 해체 수순으로 옮아가는 것 아니냐는 전망이 나온다. 한 공기업 관계자는 “여론에 민감한 대기업도 탈퇴 카드를 만지작 거리고 있을 것”이라며 “전경련 해체까지는 아니어도 그에 준하는 모먕새로 줄어들 것 같다”고 말했다.
전경련에는 삼성과 현대차, SK, LG 등 4대 그룹을 비롯해 600여개 기업과 기관이 회원으로 가입했다. 이들 회원사가 내는 연간 회비는 400억원 규모인 것으로 전해졌다.
13일 전경련과 복수의 공기업 등에 따르면 한국전력, 한국석유공사, 한국가스공사 등 공기업 9곳이 탈퇴했다. (본지 12일자 기사 참조)
앞서 전경련은 공기업 회원사 일부가 탈퇴를 요청하자 이를 거부하는 공문을 보내 도마에 오른 바 있다.
한 공기업 관계자는 “전경련이 재벌의 이익을 대변하는 단체로 변질되면서 부담을 느껴왔다”며 “회원사 공동의 이익보다 일부 재벌을 우선하고, 대외적 이미지가 부정적인데 부담을 느껴왔다”고 말했다.
해당 공기업은 전경련이 어버이연합 뒷돈 지원 논란과 미르재단, K스포츠 재단 설립과 관련해 권력형 비리 의혹이 일자 부담을 느껴 전경련에 탈퇴 신청을 한 것으로 알려졌다.
향후 전경련을 탈퇴하는 공기업이나 공공기관은 더욱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지난 11일 세종문화회관이 탈퇴신청서를 냈고, 수출입은행도 탈퇴를 검토하고 있다. 이덕훈 수출입은행장은 최근 국정감사에서 “전경련 탈퇴를 검토하겠다”고 말한 바 있다.
이는 이동걸 KDB산업은행 회장과 권선주 IBK기업은행장이 국정감사에서 "전경련 탈퇴를 검토하겠다"고 밝힌 뒤 나온 발언으로, 향후 전경련 탈퇴에 속도가 붙을 전망이다.
신용보증기·기술신용보증기금·한국거래소 등 금융관련 공공기관도 전경련 탈퇴요구를 받고 이를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정치권의 압박도 거세다. 김관영 국민의당 원내수석부대표는 13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원내정책회의에서 "전경련 정관 1조에 나온 '올바른 경제정책 구현'은 온데 간데 없다"며 "전경련은 유통기한이 끝났고, 하자있는 제품이다. 해체를 위해 당력을 기울이겠다"고 말했다.
공기업의 전경련 탈퇴와 정치권의 압박이 거세지며 해체 수순으로 옮아가는 것 아니냐는 전망이 나온다. 한 공기업 관계자는 “여론에 민감한 대기업도 탈퇴 카드를 만지작 거리고 있을 것”이라며 “전경련 해체까지는 아니어도 그에 준하는 모먕새로 줄어들 것 같다”고 말했다.
전경련에는 삼성과 현대차, SK, LG 등 4대 그룹을 비롯해 600여개 기업과 기관이 회원으로 가입했다. 이들 회원사가 내는 연간 회비는 400억원 규모인 것으로 전해졌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