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G유플러스]
아주경제 이정하 기자 = 서울 코엑스(COEX)에서 진행되는 '2016 사물인터넷 국제전시회(IoT Korea Exhibition 2016)'의 LG유플러스 IoT 전시관이 인기리에 운영되고 있다.
14일 LG유플러스는 지난 12일부터 시작된 '2016 사물인터넷 국제전시회' 내에 LG유플러스 IoT전시관에 이틀 만에 5000여명의 관람객이 다녀갔다고 밝혔다.
LG유플러스는 이번 전시회에 참가기업 중 가장 큰 규모의 홈·산업 IoT 전시관을 구축하고 다양한 분야에서 총 30여가지의 IoT 서비스를 전시했다.
또 단순히 제품을 홍보하는 전시회가 아닌 실제 고객이 살고 싶은 안전하고 편리한 'IoT House'를 모티브로 모던한 느낌의 전원주택으로 전시관을 구현했다.
IoT스위치나 플러그, 가스락, 에너지미터 등 홈IoT 서비스는 물론, IoT냉장고나 세탁기 등 가전연동 서비스와 이번에 처음 전시된 음성인식 허브와 도어캠에도 많은 관람객이 몰렸다.
음성인식 허브는 아마존의 ‘에코’와 같이 음성으로 기기를 제어하고 현재 온도와 침입 감지시 싸이렌 등의 기능을 구현하는 똑똑한 기기다. 도어캠은 현관문 밖에 방문객을 스마트 폰으로 알려주고 통화도 하거나 경고도 할 수 있는 서비스다.
특히 전기 사용료와 한 달 예측 요금을 알려주는 에너지미터와 대기전력을 차단해 전기료를 절감할 수 있는 IoT플러그는 올 여름 전기료와 누진세 이슈로 가입자가 급증했다.
운전자의 안전한 운행을 지원하는 공장 내 차량 관리 솔루션 'IoT 차량안전운행'과 차량의 위치와 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해 유통∙운송업에서 유용한 '스마트차량관제' 서비스 등 산업 IoT 분야에도 관련 기업들의 방문이 이어졌다.
지난 13일 에티오피아, 르완다 등 11개 개발도상국의 장차관으로 구성된 참관단이 홈IoT와 산업IoT 전시관을 방문, 다양한 IoT 서비스에 대한 간접체험과 설명을 들으며 관심 있게 둘러봤다.
이날 전시장을 찾은 그립의 정연규 대표는 "LG유플러스와 함께 IoT허브를 개발, 국내 홈 IoT산업을 리딩한 성공경험을 바탕으로 해외진출을 모색하고 있다"며 "곧 미국 실리콘벨리의 다양한 기업 및 투자자를 대상으로 IoT기술력과 사업모델을 소개하는 자리를 가질 계획"이라고 밝혔다.
김용식 LG유플러스 IoT전략팀장은 "이번 전시회에 가장 강조한 부분은 IoT 서비스가 지금 우리 실생활에 적용돼 무한한 가치를 고객에게 제공하고 있다는 것"이라며 "출시 1년 만에 국내 44만 가구가 선택할 만큼 세계적으로도 가장 빠른 가입자 증가세를 보이는 IoT서비스"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