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 SNS 파상공세 "문재인 역사관, 미래 못 맡겨"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6-10-16 13:45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지난 2007년 3월 청와대에서 열린 한 행사에서 대화를 나누는 당시 문재인 비서실장과 송민순 외교통상부 장관. [사진=연합뉴스]


아주경제 이수경 기자 = 이른바 '송민순 회고록' 파문과 관련해, SNS(사회관계망 서비스) 상에서도 야권의 대권주자인 문재인 더불어민주당 전 대표를 향한 여당의 파상공세가 이어지고 있다.

송민순 전 외교통상부 장관은 회고록을 통해, 지난 2007년 노무현 정부 시절 유엔의 북한인권결의안 표결 시 우리 정부가 사전에 북한에 의견을 구한 후 기권했다고 밝혔다. 이 과정에서 당시 청와대 비서실장이었던 문 전 대표가 깊이 관여했다고 주장했다.

16일 새누리당의 5선 중진 원유철 의원은 자신의 페이스북에서 "문 전 대표는 이제 통일한국의 정체성에 대해 분명한 입장을 밝혀야 한다"는 글을 올렸다.

원 의원은 "대한민국 미래의 희망은 통일이고, 통일한국은 자유민주주의와인권, 그리고 시장경제가 근본이되어야 한다"면서 "통일로 가는 대한민국의 미래를 불확실하고 불투명한 역사관과 정체성을 가진 정치세력에게 결코 맡길수 없다"고 강하게 비판했다.

원 의원은 한국형 핵무장 프로그램 등을 주장하며 '북핵 해결을 위한 새누리당 의원 모임'을 이끄는 한편 대한민국 미래 비전을 위한 싱크탱크를 준비중이다. 사드(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 배치에 반대하는 문 전 대표와 반대 입장에 선 상태에서 이번 사건을 두고 강한 경계심을 드러낸 것이다.

마찬가지로 여권의 대권주자인 유승민 새누리당 의원(4선) 역시 지난 15일 페이스북에 "문 전 대표의 대북관과 인권에 대한 생각을 묻는다"라며 문 전 대표와 각을 세우고 나섰다.

유 의원은 '송민순 회고록'에 관해 "실로 충격적"이라며 "무자비한 인권탄압에 고통받는 북한주민과 인권유린을 일삼는 북한정권 이 둘 중 우리 대한민국이 북한주민의 편에 서야 한다는 것은 상식인데, 문 전 대표에게는 인권에 대한 이러한 상식을 찾아볼 수 없다"고 꼬집었다.

당시 결정이 민주적이었다고 항변한 문 전 대표를 향해 그는 "'인권'을 외면한 부끄러운 결정에 어떻게 '민주'라는 단어를 쓸 수가 있나"라며 "외교안보가 다수결로 결정할 일인가"라고 일갈했다.

그러면서 유 의원은 "문 전 대표의 말은 솔직하지도, 분명하지도 못하다"면서 "9년 전 과거의 일로 문 전대표를 정치적으로 비판하려는 게 아니다. 제1야당의 대선후보가 되려는 분의 대북관과 안보관, 그리고 인권과 민주주의에 대한 생각은 대한민국의 미래를 위해 중요하기 때문"이라고 강조했다.

같은 당의 재선 하태경 의원도 페이스북에 "문재인과 김만복(전 국정원장) 대질 심문을 해야겠다"고 썼다.

하 의원은 "문 전 대표는 국정원이 북한 쪽 정보를 수집했다며 북한 의견을 확인한 것처럼 얘기하고 김 전 원장은 다른 뉘앙스로 말한다"면서 "누구 말이 맞는지 국정조사를 열어 확인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한편 문 전 대표는 지난 15일 자신의 페이스북에 '웟이 중헌디'라는 제목을 붙여 "나는 가장 좋은 전쟁보다 가장 나쁜 평화에 가치를 더 부여한다"고 밝혔다.

그는 2007년 당시를 "한반도 평화구조 정착을 위해 무엇을 선택해야 하는지가 기준이었다"면서 "새누리당과 박근혜 정부는 북한과의 대화 단절이 북한 인권 개선에 무엇이 도움이 됐는지, 그리고 북핵문제 해결에 무슨 도움이 됐는지 되돌아보고 반성해야 한다"고 역공을 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