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주경제 이수경 기자 = 새누리당 중진 의원들은 이른바 '송민순 회고록'과 관련해, 19일 문재인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를 향해 ''사실 관계를 밝히라"며 공세를 이어나갔다.
이날 국회에서 열린 당 '최고위원·중진의원 연석 간담회'에서 회고록 관련 당내 진상규명위원회 위원장인 정갑윤 의원은 "북한에 굴욕적인 저자세로 일관한 세력으로부터 대한민국을 지키기 위해서라도 이 사실은 반드시 낱낱히 밝혀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특히 이번 사건을 가리켜 "역사를 되돌아보면 인조가 청 태종에게 당한 '삼전도의 치욕'에 버금가는 대북 굴종 사건"이라며 "문 전 대표는 모든 사실을 명명백백히 밝히고 국민 앞에 석고대죄를 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정우택 의원은 "말을 바꾸고 정직하지 못한 처신, 언동을 하는 사람은 나쁜 사람"이라며 "문 전 대표는 사흘동안 오락가락 해명하는 것 같더니 이젠 기억력 좋은 사람에게 물어보라며 모르쇠로 일관하고 있는데, 후안무치한 행태"라고 비난했다.
정 의원은 "심하게 말하면 문 전 대표는 기억하고 싶은 것만 기억하고자 하는 기억 편식주의자가 아닌가"라며 "어떻게 새누리당이 북한 덕분에 존속하는 정당이라고 표현할 수 있는지, 소위 뭐 묻은 개가 뭐 묻은 개 나무란다는 것 같다"고 비유했다.
그러면서 "(야당은) 막말행태까지 벌여서 진실공방을 소위 정쟁, 색깔론으로 덮어씌워서 물타기 하려는 것 아닌가"라고 덧붙였다.
유기준 의원은 "문 전 대표는 대선 후보로까지 올라있는 분인데 본인이 한 말에 대해 기본적 사실관계 확인은 물론 책임도 지려 하지 않는다"면서 "이번 사건이 문 전 대표의 위기관리 능력과 리더로서의 자질, 국가관에 대해 평가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꼬집었다.
최연혜 최고위원도 "유엔 북한인권결의안에 대해 북한에 물어보는 행태가 핵 개발 인프라 제공행위였음을 문 전 대표는 왜 깨닫지 못하고 변명에 급급해하는지 묻지 않을 수 없다"면서 "왜 자신이 열심히 할수록 대한민국을 위험에 빠뜨리게 되는지 근본원인에 대해 통찰해보시길 권유하는 바"라고 거들었다.
다만 정병국 의원은 "철저하게 규명하되, 우리 당도 이 부분에서 너무 지나치게 감정적으로 대할 부분은 아니고 냉철하게 대해야 된다"고 당부했다.
정 의원은 "문 전 대표가 북한에 결재를 맡고 (결의안 표결 기권을 결정)했는지 안했는지 하는 문제로 국한해야 되고, 자칫 잘못해 다른 곁가지가 붙게 되면 팩트 자체가 본질을 흐릴 수 있다"고 우려했다.
한편 이날 회의에서는 법인세 논쟁에 대한 얘기도 나왔다. 야당은 현재 법인세 인상을 주장하고 있으나 여당에선 불가 입장이다.
김재경 의원은 "부동산 경기가 활성화되면서 양도소득세가 이전보다 10조 정도 더 걷혔고, 재산세도 상당히 많이 걷히고 있는 반면 제조업 경기는 빅2를 비롯해 굉장히 어렵다"면서 "법인세 논쟁을 수세적 국면에서 전환해서, 세수가 부족할 것 같지 않은 상황에서 제조업에 부담주는 법인세를 인상해야 할 것인가를 국민에게 적극 설명하고 논의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정현 대표는 이와 관련해 "경기도 안 좋고 내수진작, 투자확대를 위해서라도 법인세 문제는 정치적 선동을 넘어 국민들과 함께 고민하고 이해하는 계기가 돼야 한다"면서 "당 정책위, 관계 상임위와 논의해 현장의 목소리를 정부에 주문하는 짜임새 있는 당정회의를 추진해보겠다"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