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 강남구의 한 아파트 단지 모습. 이 사진은 기사 내용과 무관함. [사진=아주경제DB]
아주경제 김종호 기자 = 지난 8월 서울 아파트값이 3.3㎡당 1800만원을 돌파한 이후 역대 최고가를 지속 갈아치우고 있다. 특히 서울 25개 자치구 가운데 절반이 넘는 14개구가 전 고점을 넘어 최고가를 매주 경신하는 모습이다.
20일 부동산114에 따르면 지난 7일 기준 서울 아파트값은 3.3㎡당 1877만원으로 전 고점인 2010년 3월 1848만원을 넘어선 이후 연일 최고가를 새로 쓰고 있다.
박근혜 정부 출범 후 주택경기를 살리기 위해 주택담보대출비율(LTV), 총부채상환비율(DTI) 등 금융규제 및 청약제도 개편과 재건축 연한 단축, 민간부문 분양가 상한제 폐지 등 각종 규제를 완화한 영향이 컸던 것으로 풀이된다.
서울 25개 자치구 가운데 서초, 마포, 성동 등 14개 자치구는 전 고점을 넘어 역대 최고가를 경신했다.
2013년 1월 3.3㎡당 2500만원대로 떨어졌던 서초는 현 정부 출범 이후 주요 재건축 단지 사업에 속도가 붙으면서 오름세가 이어졌다. 올해 6월 3000만원을 돌파했고 10월 현재 3217만원까지 뛰었다. 일부 신규 아파트 분양가는 4000만원을 넘어섰다.
마포와 성동도 3.3㎡당 1800만원을 뛰어넘어 역대 최고가를 갈아치웠다. 마포는 지난해 5월 3.3㎡당 1700만원을 넘어선 이후 채 1년이 안된 시점인 올해 3월 1800만원을 넘어섰으며, 현재 1881만원을 기록하고 있다.
성동 역시 지난해 9월 3.3㎡당 1700만원을 넘은 뒤, 1년이 조금 지난 시점인 지난 9월 1800만원을 돌파했다. 이밖에 동작과 강서, 서대문, 구로, 금천 등도 전 고점을 넘어 최고가를 경신 중이다.

서울 자치구 중 아파트값 전 고점 넘은 곳 [자료=부동산114]
반면, 양천과 용산 등 서울 10개 자치구는 아직 전 고점을 넘지 못했다. 특히 주요 재건축 아파트가 몰려 가격 상승을 이끌고 있는 강남과 강동, 송파, 양천 등도 전 고점을 회복하지 못한 상태다.
10개 자치구 중 가격 회복이 가장 더딘 곳은 양천으로 현재 3.3㎡당 1983만원으로 전 고점 대비 242만원이나 떨어졌다.
이어 용산이 전 고점 대비 181만원 떨어졌고 송파와 강동은 각각 165만원, 142만원이 하락한 상황이다.
김은진 부동산114 리서치센터 팀장은 “8.25대책 발표 이후 한 달이 지났지만, 서울 아파트값은 오히려 가파른 상승세다. 주택공급 축소 방침으로 기존주택은 물론 신규분양 단지의 희소성이 높아질 것이라는 기대감에 집주인들은 매물을 회수하거나 호가를 높이고 있다”며 “분양시장이 여전히 뜨거운 데다, 본격적인 가을 이사철로 접어드는 등 서울 아파트 시장 상승 분위기는 지속될 전망이라 전 고점을 뛰어넘는 자치구는 추가로 더 늘어날 것”이라고 분석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