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 중국 내부에서는 한국산 중간재 수입을 대체하는 분위기가 높아지고 있다. 중국이 제조업 국산화로 한국제품은 찬밥 신세로 전락할 우려가 커졌다.
중국의 구조적 경제체질 전환은 투자에서 소비주도, 글로벌 가치사슬의 하단에서 상단으로, 제조업에서 서비업 중심으로 전개되고 있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의 대중국 수출 패턴도 중간재에서 벗어나 소비재 분야 발굴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특히 중국이 차제 생산력을 끌어올려 고부가가치 영역까지 경쟁력을 갖춘다면 한국경제 전반에 적잖은 타격을 줄 것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현대경제연구원 역시 중국이 기존 부가가치가 낮은 생산과정을 탈피하고 소재·부품 국산화 노력 등 고부가가치화를 실현하면서 대중국 중간재 수출 비중이 높은 한국과 대만, 일본 등 국가들에 위협이 되고 있다고 진단했다.
중국의 부품 수입증가율은 2010년 이후 지속적으로 하락하는 추세다. 반면 부가가치 기준으로 중간투입 자급률은 2005년만 해도 87.1%에 불과했지만, 2011년에는 상승추세를 보이며 93.3%까지 올랐다.
주목할 부분은 가공무역 축소 영향으로 수입 중간재 재수출 비중이 1995년 58.3%에서 2011년에는 47.2%로 11.1%포인트 줄었다는 점이다. 수입 중간재 재수출 비중이 줄어드는 것은 중국 제조업의 조립·가공 역할이 약화하고 있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또 중국이 중간재 수출을 통해 세계 총수출에 참여하는 것을 의미하는 제조업 전방 참여도는 2008년 11.6%에서 2011년 12.4%로 증가했다. 철강, 구리, 아연 등 금속이나 자동차 분야에서 전방 참여도는 이미 한국을 추월한 상태다.
그러나 한국은 2011년 기준으로 전체 중간재 수출로 얻는 부가가치의 37.4%가 중국에서 나오는 등 중간재 수출의 대중국 의존도가 여전히 높다.
무역협회도 대중국 수출이 고전하는 원인으로 중간재 부진을 꼽았다. 중국이 철강, 석유화학 등 기초 산업은 물론 첨단 산업까지 중간재 조달에서 자급률을 높여가고 있기 때문이다.
중국은 지난해 ‘중국 제조 2025’ 정책을 발표하고 제조업 분야 기초기술 향상 지원 등에 고삐를 죄고 있다. 경제성장 중심축을 제조품 수출보다는 내수와 서비스, 정보통신기술(ICT) 위주로 체질개선을 도모하고 있다.
폴리에스터섬유와 페트병 원료인 테레프탈산(TPA)의 경우 2010년 우리나라 대중 수출은 316만t이었지만 중국이 이 원료를 자체생산하면서 지난해 67만t으로 급감했다.
가전 가운데 전구 수출 규모도 같은 기간 2억6000만 달러에서 2000만 달러로 줄었고, 승용차 수출도 15억6000만 달러에서 9억3000만 달러로 감소했다.
문병기 국제무역연구원 동향분석실 수석연구원은 “중국은 최근 평판디스플레이, 가전, 무선통신기기, 석유화학 등에서 자체 연구개발(R&D)을 통해 기술과 품질 수준을 크게 끌어올렸다”고 설명했다.
문 수석연구원은 이어 “우리나라도 새로운 수출상품을 발굴하고 현재 주력산업과 제품을 한층 더 업그레이드하는 방안을 고민해야 할 것”이라며 “제조업 스마트화, 제조업과 서비스 산업과 시너지를 추구하는 동시에 소비재 수출 확대 등으로 수출경쟁력을 강화해나가야 한다”고 덧붙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