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한항공, 3분기 별도 기준 주요 재무실적.[자료=대한항공]
아주경제 윤정훈 기자 = 대한항공이 3분기 최대 영업실적을 달성하며, 부활의 기지개를 켰다. 이는 대한항공이 예년보다 보름 정도 이른 실적 발표를 통해 유동성 우려에 대한 주위의 우려를 불식시키겠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25일 대한항공은 별도 기준 3분기 주요 실적을 발표했다. 매출액은 3조568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4.7% 증가했고, 영업이익은 4476억원으로 동기 대비 34.9% 증가했다. 당기순이익은 4280억원으로 흑자전환했다.
대한항공의 올 3분기 영업이익은 역대 최대 규모로, 지난 2010년 3분기에 기록한 4165억원을 넘어섰다. 또 당기순이익 흑자 전환으로 부채비율(별도 기준)도 지난 2분기 1108%에서 917%로 감소했다. 올 3분기 최대 실적은 저유가와 원화 강세, 광복절 및 추석연휴 등이 더해지며 달성했다.
대한항공 관계자는 "한진해운이 법정관리 상태라 향후 한진그룹의 추가지원은 없을 것"이라며 "시장 상황을 주시해 조만간 영구채 발행을 추진하는 등 지속적으로 재무구조를 개선하기 위해 노력할 계획이다"라고 설명했다.
대한항공은 올 3분기까지 자회사 한진해운 관련 손실 8251억원을 회계에 반영했고, 한진해운이 법정관리에 돌입함에 따라 향후 추가 손실은 없다는 입장을 밝혔다.
대한항공은 이날 안정적인 3분기 실적을 발표를 통해 △금융 업계 등으로부터 신뢰 회복 △향후 영구사채 발행 등 원활한 유동성 공급 등의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대한항공은 그동안 금융업계에서 부정적 평가를 받으며, 자금 마련에 어려움을 겪어왔다. 나이스 신용평가는 지난달 28일 "대한항공의 저조한 영업외수익성이 영업수익성 개선폭을 상쇄할 것으로 본다"면서 "금융시장 내 대한항공과 한진그룹에 대한 비우호적인 환경이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우려의 의견을 제시한 바 있다.
또한 대한항공은 4%대 고금리로 1500억원의 회사채를 공모했지만, 한 곳의 기관투자자도 참여하지 않았다. 이에 1500억원 회사채 전량은 인수를 주관한 유안타증권 외 네 곳 증권사에서 전액 인수했다. 대한항공은 1500억원의 자금을 B777-300ER 등 항공기 리스료 등 운영자금으로 사용할 계획이다.
대한항공의 주가는 이날 호실적을 발표했지만 큰 변동이 없었다. 앞으로 한진해운 지원 리스크가 사라진 대한항공이 지난해 7월 이후 한 번도 밟지 못했던 4만원 대 주가를 회복할 수 있을지도 관건이다.
대한항공 관계자는 "지난해 메르스로 인한 기저효과와 저유가 덕택에 좋은 실적을 기록했다"면서 "한진해운 지원이라는 큰 악재가 사라졌고, 유상증자도 전혀 계획이 없어서 주가에도 긍정적이다"라고 말했다.
25일 대한항공은 별도 기준 3분기 주요 실적을 발표했다. 매출액은 3조568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4.7% 증가했고, 영업이익은 4476억원으로 동기 대비 34.9% 증가했다. 당기순이익은 4280억원으로 흑자전환했다.
대한항공의 올 3분기 영업이익은 역대 최대 규모로, 지난 2010년 3분기에 기록한 4165억원을 넘어섰다. 또 당기순이익 흑자 전환으로 부채비율(별도 기준)도 지난 2분기 1108%에서 917%로 감소했다. 올 3분기 최대 실적은 저유가와 원화 강세, 광복절 및 추석연휴 등이 더해지며 달성했다.
대한항공 관계자는 "한진해운이 법정관리 상태라 향후 한진그룹의 추가지원은 없을 것"이라며 "시장 상황을 주시해 조만간 영구채 발행을 추진하는 등 지속적으로 재무구조를 개선하기 위해 노력할 계획이다"라고 설명했다.
대한항공은 이날 안정적인 3분기 실적을 발표를 통해 △금융 업계 등으로부터 신뢰 회복 △향후 영구사채 발행 등 원활한 유동성 공급 등의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대한항공은 그동안 금융업계에서 부정적 평가를 받으며, 자금 마련에 어려움을 겪어왔다. 나이스 신용평가는 지난달 28일 "대한항공의 저조한 영업외수익성이 영업수익성 개선폭을 상쇄할 것으로 본다"면서 "금융시장 내 대한항공과 한진그룹에 대한 비우호적인 환경이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우려의 의견을 제시한 바 있다.
또한 대한항공은 4%대 고금리로 1500억원의 회사채를 공모했지만, 한 곳의 기관투자자도 참여하지 않았다. 이에 1500억원 회사채 전량은 인수를 주관한 유안타증권 외 네 곳 증권사에서 전액 인수했다. 대한항공은 1500억원의 자금을 B777-300ER 등 항공기 리스료 등 운영자금으로 사용할 계획이다.
대한항공의 주가는 이날 호실적을 발표했지만 큰 변동이 없었다. 앞으로 한진해운 지원 리스크가 사라진 대한항공이 지난해 7월 이후 한 번도 밟지 못했던 4만원 대 주가를 회복할 수 있을지도 관건이다.
대한항공 관계자는 "지난해 메르스로 인한 기저효과와 저유가 덕택에 좋은 실적을 기록했다"면서 "한진해운 지원이라는 큰 악재가 사라졌고, 유상증자도 전혀 계획이 없어서 주가에도 긍정적이다"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