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주경제 김혜란 기자 = 27일 야권에선 박근혜 대통령을 향해 최순실 국정 농단 파문으로 혼란에 빠진 국정을 수습할 대책을 내놓으라는 요구가 분출했다. 특히 야당은 '최순실 게이트'의 정점인 박 대통령도 조사 대상임을 강조하며 공세를 강화했다.
우상호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열린 당 정책조정회의에서 "범국가적 대책이 조속히 나와야 한다"고 박 대통령을 압박했다. 그는 청와대 비서진 일괄 사퇴를 촉구하며 박 대통령을 향해 "사람 구하는 일이 빨리 안 되면 개편 자체는 단계적으로 해도 좋지만 개편 의지라도 오늘 밝혀야 한다"고 촉구했다.
그는 또 "최 씨는 '2년 안에 북한이 붕괴한다'고 말하고 다녔다고 한다"며 "2년 안에 통일이 된다, 북한이 망한다는 최 씨의 예언 때문에 (박 대통령이) 지금의 대북강경책을 폈다면, 이건 정말 믿을 수 없는 이야기"라고 지적했다. 최 씨가 박 대통령의 '주술적 멘토'라는 일각의 의혹을 거론한 것이다.
특별검사제 도입이 기정사실화된 가운데 박 대통령도 수사 대상에 포함돼야 한다는 주장에도 힘이 실렸다. 박완주 민주당 원내수석부대표는 "박 대통령도 '나를 수사하라'고 공개적으로 밝혀야 한다. 성역 없는 수사를 받겠다는 말씀을 국민 앞에 해 달라"고 요구했다.
야권은 청와대에 '내각 총사퇴' 맹공과 더불어 국정수습책을 같이 쏟아내며 혹시 모를 여론의 역풍을 경계했다.
안철수 국민의당 전 공동 상임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열린 의원총회에서 "우선 대통령의 권한을 최소화하고, 여야가 합의해 새로 임명된 총리가 국정을 수습해야 한다"고 말했다.
안 전 대표는 "이 사건의 본질은 '최순실 게이트'나 '최순실 국기 문란 사건'이 아니라, 박근혜 대통령의 국기 문란 사건, 또는 박 대통령 헌법 파괴 사건"이라며 "총리와 비서실장부터 먼저 책임을 지고 사퇴해야 한다. '문고리 3인방(안봉근 국정홍보비서관과 이재만 총무비서관, 정호성 부속비서관)'은 물론 우병우(민정수석), 안종범(정책조정수석)도 당장 그만둬야 한다"고 주장했다.
다만 안 전 대표는 전날 문재인 민주당 전 대표가 제안한 '거국중립내각'과는 거리를 뒀다. 그는 "가장 먼저 시급하게 할 수 있는 것은 리더십을 가진 총리를 세우는 것"이라고 주문했다.
야권의 대선 잠룡인 손학규 전 민주당 대표도 이날 국회에서 기자들과 만나 "대통령이 이 나라의 위중함을 제대로 느끼고 '모든 것을 다 내려놓는다, 내려놓고 거기서 국민의 힘으로 나라를 세운다'는 생각을 해야 한다"며 "거국내각을 세우거나 여야 간 대연정을 생각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이런 가운데 민주당은 '최순실 패닉'에 빠져 우왕좌왕하는 정부·여당의 실정을 부각하면서 대안 정당 이미지를 강화하고 나섰다.
민주당은 28일 '비상경제 일자리 최고위원회'를 열고 부동산·가계 부채 문제, 청년 일자리 해법을 제시하겠다고 예고했다. 윤호중 민주당 정책위의장은 "대통령은 물론이고 정부·여당이 최순실 지키기에 골몰한 나머지 경제를 포기하고 민생을 내팽개치고 있다"고 비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