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료=건강보험심사평가원 제공]
아주경제 조현미 기자 = 우리 국민이 진료비로 쓴 비용이 지난 13년간 3배 가까이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HIRA)이 27일 내놓은 '수치로 보는 HIRA 15년의 발전사'를 보면 건강보험 대상 1인당 평균 진료비는 2002년 41만원에서 2015년 115만원으로 2.8배 올라갔다.
이 기간 여자 진료비는 45만원에서 125만원으로, 남자는 37만원에서 105만원으로 각각 늘었다.
심평원의 진료비 심사실적은 2000년 14조7000억원에서 작년엔 66조원으로 4.5배 급증했다. 심사건수 역시 같은 기간 4억3000만건에서 14억5000만건으로 3.4배 뛰었다.
병원·약국·보건소·보건의료원·보건지소·한국희귀의약품센터 등 전국에 있는 진료기관수는 2000년 6만1776곳에서 작년엔 28만8163곳으로 42.7% 증가했다.
특히 고령화 등의 영향으로 요양병원수가 급증했다. 2003년 68곳에 머물던 요양병원은 2015년 1372기관으로 20배 가까이 늘었다.
전문의수는 작년 기준 총 7만5550명으로 2002년 4만1786명과 비교해 1.8배 증가했다.
내과 전문의가 1만3873명으로 가장 많고, 이어 외과(5739명), 가정의학과(5728명), 정형외과(5562명), 산부인과(5561명) 순이었다. 결핵과는 80명으로 가장 적었다.
전문의 증가율이 가장 높은 과목은 응급의학과였으며 재활의학과, 핵의학과가 그 뒤를 이었다.
2015년까지 이뤄진 요양급여(진료) 적정성 평가 항목은 암 ·급성상기도감염(감기) 등 모두 36개로 집계됐다. 적정성 평가란 병원에서 환자의 진단·치료가 제대로 이뤄졌는지를 평가하는 것이다.
이중 감기 항생제 처방률의 경우 2002년 73.3%에서 2015년 44.1%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