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3년만에 새롭게 다시 태어난 팔미도 등대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6-11-02 08:30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인천해수청,10월31일 보수정비 마쳐

아주경제 박흥서 기자 =인천지방해양수산청(청장 임현철)은 지난 10월 31일 우리나라 최초등대인 팔미도등대에 대하여 원형을 유지하면서 보수정비를 마쳤다고 밝혔다.

팔미도등대는 1903년 6월 1일 인천 앞 바다 섬 팔미도에 세워졌다.

해발 고도 71m의 팔미도 꼭대기에 세워진 등대는 높이 7.9m, 지름 약 2m로 불빛은 약 10km 밖에서도 식별할 수 있어 서남해에서 인천항에 출입하는 선박들의 안전운항을 위하여 지표 역할을 묵묵히 수행했다.

팔미도등대는 지난 100여 년간 인천 앞바다를 비추며 격동 시기를 함께 했다.

영화를 통하여 알 수 있듯이 팔미도등대는 인천상륙작전의 성공에 지대한 기여을 했다. 특수부대원들이었던 켈로(KLO)부대의 ‘팔미도 등불을 밝히라’는 명령과 그들의 목숨을 건 사투 끝에 북한군을 물리치고 우여곡절 끝에 그 숭고한 불빛, 팔미도 ‘ 승리의 빛 ’을 신호로 맥아던 장군의 연합군 261척 함대의 인천상륙작전(작전명 ‘크로마이트’)이 개시 됐다.

영욕의 역사를 지켜본 팔미도등대는 불을 밝힌 지 100년 만인 지난 2003년 12월 현대적 조형미를 갖추고 훨씬 큰 100주년 기념상징 조형물인 ‘천년의 빛’으로 교체되면서 그 임무를 새 등대에 맡기고 영구 보존하게 되었다.

팔미도등대는 해양건축 효시라는 의미가 높이 평가되어서 2002년 인천시 유형문화재 제40호로 지정되었으며, 2006년도에는 해양수산부 등대문화유산 제1호로 등재되었다.

인천해수청은 이번 팔미도등대 복원사업을 추진하기 위하여 ‘14년부터 예산을 요구하여 ’15년도 문화재실측 설계업체에게 설계용역을 실시했다.

설계 용역 결과를 토대로 올해 2억2000만원을 투입해 최대한 원형을 보존하는 방식으로 사업을 추진했다.

팔미도등대 전경(보수공사 後 목재부분과 화강석 원형 보존)[1]


또한, 이번 사업을 위해 인천시 문화재 심의 위원회 및 해양수산부 등대문화유산 위원회의 회의를 걸쳐 등대 보수 공사가 등대 보존에 영향을 미칠 우려가 있는지 등을 면밀히 검토한 한 후 실시했다.

사업 추진시에는 문화재 보존처리 전문가이며 문화재청 전문위원인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정광용 교수와 건국대학교 한경순 교수의 자문을 받아 원형을 보존하는 방식으로 등대 보수를 완료했다.

보수 공사에는 해풍 및 열악한 환경에 오래 견딜 수 있도록 보존 작업을 추진하였으며, 그리고 그 동안 페인트로 도포 되었던 목재와 화강석 부분을 질감 그대로 표현해 전시효과를 높였다.

인천지방해양수산청 관계자는 등대가 영원히 보존될 수 있도록 유지관리에 만전을 기하고, 시민들이 누릴 수 있는 등대해양문화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