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6/11/10/20161110170413827765.jpg)
▲ 지난해 10월 23일 서울 광화문에서 박진 전 의원이 아주경제와 인터뷰를 하고 있다. [김세구 기자 k39@aju]
아주경제 이수경 기자 = "절실합니다. 발등에 불이 떨어져 있어요."
'트럼프 시대' 개막을 앞두고 '외교 전문가' 박 진 전 의원은 10일 기자와 만나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재협상을 우려하며 이 같이 말했다. 대안으로 그는 "외교와 통상 업무가 분리된 것을 재검토해야 한다"면서 통상 마찰을 해결할 수 있는 독자기구 신설도 제안했다.
이날 박 전 의원은 국회 의원회관에서 트럼프 당선이 한국 경제와 안보에 미치는 영향을 주제로 열린 긴급 세미나에 참석했다.
질의응답 과정에서 그는 "트럼프가 주한미군 철수보다는 한미자유무역협정(FTA)에 대한 문제제기를 할 가능성이 더 크다"고 지적했다.
이어 "FTA를 했더니 미국은 적자만 늘고 일자리를 뺏기고 있다, 이는 안 된다라고 트럼프가 분명히 얘기한만큼 최소한 재협상에 돌입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다만 우리 정부의 통상 외교는 트럼프 정부를 카운터파트로 상대하기에 역부족이라는 지적이다.
박 전 의원은 "이 정부 들어 외교와 통상을 분리(부처 개편)해버렸고, 최근 들어서는 세일즈 외교는 포기한 듯 하다"면서 "통상을 세일즈 외교 안하고 어떻게 하겠나"라고 외교통상부 복원을 촉구했다.
또 다른 방안으로는 "백악관 직속인 미국의 무역대표부(USTR)처럼 우리도 통상 마찰문제를 입체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기구가 필요하다"면서 "청와대나 총리실 직속으로 두는 것을 차기 정부에서 검토해야 할 문제"라고 제안했다.
특히 이와 관련해 그는 "한·미 양자관계만 생각할 게 아니라 미·중 마찰도 대단히 심각하게 봐야 한다"면서 "미·중 무역전쟁이 터지면 우리는 중국을 통한 중간 자본재 수출길도 막히기 때문에, 전략적으로 미·중 관계를 판단할 수 있는 독립된 기구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세미나 직후 박 전 의원은 기자와 만나 "통상 문제와 관련해 각 정부 부처 간 협의를 통해서 우리가 입체적으로 대처해야 할 때"라며 "한미 관계에서 끝나는 문제가 아니기 때문에 보다 전략적인 통상대책을 마련할 시점에 와 있다"고 말했다.
정부 조직개편(외교통상부 복원), 독자적 통상기구 마련 등 자신이 제안한 2가지 방안 중에서는 "외통부 복원이 좀더 쉬운 방안이지만 산업통상자원부가 세종시에 가 있어서 어렵다"면서 독자적 기구 신설 쪽에 무게를 뒀다. 그러면서 그는 덧붙였다. "꼭 해야됩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