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주경제 울산 정하균 기자 = 울산시는 총 3조 2471억원 규모의 2017년도 당초예산(안)을 편성했다고 14일 밝혔다.
이는 전년대비 127억원, 0.4% 소폭 증가한 수치다.
올해까지 공기업특별회계로 운영되던 2704억원의 지역개발기금특별회계가 내년부터 '기금'으로 전환돼 예산 규모에서 제외된다는 점을 감안할 경우 전년 대비 8.7%, 2천831억원 증가한 것으로 볼 수 있다고 시는 설명헀다.
일반회계는 전년대비 6.4%(1545억원) 증가한 2조 5620억원이다.
특별회계는 전년대비 17.1%(△1418억원) 감소한 6851억원이다.
시는 내년도 예산(안)의 중점 투자방향을 '으뜸 안전', '창조 경제', '나눔 복지', '품격 문화' 등 4대 분야로 분류, 발표했다.
'으뜸 안전' 예산은 전년대비 126.6% 증가한 1279억원으로 역대 최대 규모다.
주요사업은 △원전안전도시 울산 종합계획 △울산산업단지 안전관리 마스터플랜 등 종합적인 시민안전대책을 수립 △시민안전체험센터, 북부소방서, 염포 및 공단 119 안전센터 건립 △소방 장비 및 구조구급장비 확충 등 소방인프라 확충 △옥동지구 우수저류시설 설치 △화창 재해위험 개선지구 정비 등 재해위험지역 개선사업 △수해 피해지역의 긴급 복구를 위한 재난복구비, 재난관리기금을 추가 적립 등이다.
'경제 예산'은 전년대비 16.4%, 298억원이 증가한 2119억원 규모다.
주요사업은 △조선업희망센터 운영 및 조선기자재업체 업종 전환 한시 지원 △조선해양기자재 국제규격 인증 지원 △청년 CEO 육성사업 및 청년 일자리창출 기업 청년 인턴지원 △노인일자리 사업 및 중·장년층 재취업 훈련사업 △ETRI 울산연구센터연계 협력사업 및 그린자동차부품실용화 및 실증지원 △산학 융합형 하이테크타운 건립 및 게놈기반 바이오메디컬산업 육성사업 △전시컨벤션 센터 및 테크노 산단 조성 등 기반 구축사업 등이다.
'나눔 복지' 예산은 전년대비 392억원이 증가한 7353억원으로 예산 규모 중 가장 큰 비중인 29.97%를 차지하고 있다.
교통약자 지원을 위한 무료환승 운임보조(163억), 저상버스 도입(8억), 학교급식·식품비 지원(43억), 저소득층 통합문화체육관광이용권(10.5억) 등이다.
주요사업은 △둘째 자녀 출산지원금 확대 지원 및 난임 부부 체외 및 인공수정 시술비 지원 △영‧유아 보육료, 가정양육수당 지원 및 공공형 및 국·공립 어린이집 확충 △육아 종합지원센터 및 아동보호전문기관 개관 △지역아동보호 전문기관 개관 및 노인 가장세대 냉방비 지원 등이다.
'품격 문화예산'은 전년 대비 15.6% 증가한 1392억원이 편성됐다.
주요사업은 △문화재단 설립, 시립미술관, 어린이테마파크 건립 △제2 실내체육관 건립 △공공체육시설 우레탄트랙 개‧보수 등 시민생활체육시설 확충 및 정비 △언양읍성‧병영성 보수정비 등이다.
'도시‧환경 분야 예산'은 전년 대비 3.9% 감소한 4650억 원이 편성됐다.
주요사업은 △친환경자동차 보급 확대, 대기오염 자동측정소 및 악취저감 시설 확충 △십리대숲 생태관광센터 건립, 아시아 조류박람회 개최 등 생태관광 인프라 구축 △울산수목원, 산림교육문화원, 대왕암공원 조성 등 시민휴식공간 확충 △옥동~농소간, 다전터널~선바위간, 온양 동상~발리간 등 도심내 상습 정체도로 개설 추진 등 상‧하수도 등 총 10개의 특별회계 사업에 6851억원이 편성됐다.
김선조 기획조정실장은 "2017년도 예산(안)은 지진·수해 피해지역에 대한 신속한 복구와 항구적인 예방, 그리고 조선위기 등으로 침체된 가계와 소상공인 지원 사업들을 우선 반영했다"며 "내년도 시 예산이 시민들께 희망과 활력을 불어 넣는 소중한 마중물이 되기를 바란다"고 전했다.
한편 2017년도 예산안은 14일부터 개회되는 정례회 기간 중 심의를 거쳐 12월 15일 확정될 예정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