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김봉철 기자 = 금융당국과 채권단이 노동조합에 쟁의행위 금지 확약서를 요구한 가운데 양측의 입장이 평행선을 달리고 있다. 당장 산업은행 이사회가 열리는 18일 전까지는 동의서를 받아야하지만, 노조는 오히려 투쟁 수위를 높이며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16일 대우조선에 따르면 노조는 거제 옥포조선소에서 대의원들을 중심으로 이날 오후 4시간 부분파업에 들어갔다. 다음날인 17일에는 서울로 상경해 여의도 KDB산업은행 본사 앞에서 구조조정 반대 기자회견을 개최한다.
노조는 “우리는 시키는대로 열심히 일한 죄 밖에 없다”면서 “현재의 위기를 초래한 경영진은 즉각 물러나고 (사측과 채권단이)어떠한 선결 조건도 없이 자금 마련 방안을 제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산업은행은 대우조선 감자 후 기존 여신 1조8000억원을 출자전환하고, 한국수출입은행은 1조원 규모의 영구채를 매입할 예정이다.
정성립 대우조선 사장이 지난 9일과 15일 노조 사무실을 찾아 확약서에 사인해줄 것을 요청했지만 결론을 내지 못했다. 11일에는 산업은행 부행장 등도 방문했지만 노조 측은 확약서 제출을 거부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앞서 노조는 지난 11일 산업은행 부행장 등이 노조 사무실을 찾아 확약서 제출을 요구했지만 거부한 것으로 알려졌다.
16일 대우조선에 따르면 노조는 거제 옥포조선소에서 대의원들을 중심으로 이날 오후 4시간 부분파업에 들어갔다. 다음날인 17일에는 서울로 상경해 여의도 KDB산업은행 본사 앞에서 구조조정 반대 기자회견을 개최한다.
노조는 “우리는 시키는대로 열심히 일한 죄 밖에 없다”면서 “현재의 위기를 초래한 경영진은 즉각 물러나고 (사측과 채권단이)어떠한 선결 조건도 없이 자금 마련 방안을 제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산업은행은 대우조선 감자 후 기존 여신 1조8000억원을 출자전환하고, 한국수출입은행은 1조원 규모의 영구채를 매입할 예정이다.
이에 앞서 노조는 지난 11일 산업은행 부행장 등이 노조 사무실을 찾아 확약서 제출을 요구했지만 거부한 것으로 알려졌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