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확대
![20일 오전 서울 영등포구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비상시국 정치회의'에 참석한 야권 대선주자들이 비공개 전환 전 대화를 나누고 있다. 오른쪽부터 김부겸 더불어민주당 의원, 문재인 더불어민주당 전 대표, 박원순 서울시장, 심상정 정의당 대표, 안철수 국민의당 전 대표, 안희정 충남도지사, 이재명 성남시장, 천정배 국민의당 전 대표.[남궁진웅 기자, timeid@ajunews.com]](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6/11/20/20161120160155429741.jpg)
20일 오전 서울 영등포구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비상시국 정치회의'에 참석한 야권 대선주자들이 비공개 전환 전 대화를 나누고 있다. 오른쪽부터 김부겸 더불어민주당 의원, 문재인 더불어민주당 전 대표, 박원순 서울시장, 심상정 정의당 대표, 안철수 국민의당 전 대표, 안희정 충남도지사, 이재명 성남시장, 천정배 국민의당 전 대표.[남궁진웅 기자, timeid@ajunews.com]
아주경제 김혜란 기자 = 야권 대선 주자들이 20일, 정치권이 박근혜 대통령 퇴진 운동과 함께 탄핵 추진을 병행해야 한다는 데 뜻을 모았다. 촛불 민심은 박 대통령 퇴진만이 국민의 명령임을 거듭 확인시켜주고 있는 데다 이날 검찰이 박 대통령을 피의자로 규정해 탄핵 소추의 법적 근거가 마련되자 탄핵 공론화에 나선 것으로 보인다.
문재인 더불어민주당 전 대표와 안철수 국민의당 전 상임 공동대표, 박원순 서울시장, 안희정 충남지사, 김부겸 민주당 의원, 이재명 성남시장, 천정배 국민의당 전 공동대표, 심상정 정의당 상임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1시간가량 '비상시국 정치회의'를 진행하고 '비상시국 타개를 위한 우리의 입장'을 발표했다.
이들은 "우리는 박 대통령의 범죄 사실이 명백하고 중대해 탄핵 사유가 된다는 점을 확인하고, 국민적 퇴진 운동과 병행하여 탄핵 추진을 논의해 줄 것을 야3당과 국회에 요청한다"고 합의했다. 또 박 대통령 퇴진 이나 탄핵을 대비해 국회 주도의 총리 선출과 과도내각 구성 문제도 조속한 대책을 내놓을 것을 야 3당에 촉구했다.
아울러 "'아무것도 하지 말라'는 국민의 뜻에 따라 박 대통령이 한·일 군사정보보호협정 체결, 역사교과서 국정화 추진 등 국정 운영에서 완전히 손을 떼야 한다는 데 인식을 같이했다"고 발표했다.
8인은 또 "우리는 야3당의 강력한 공조가 필요하다는 데 인식을 같이 하고, 시민사회와 적극적으로 연대하기로 하고, 정치적 이해관계를 떠나 단합하고 단결하여 헌정질서 회복과 국민주권확립, 정의로운 국가건설에 헌신하기로 했다"고 강조했다.

이미지 확대
![20일 오전 서울 영등포구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비상시국 정치회의'에 참석한 야권 대선주자 8인이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왼쪽부터 김부겸 더불어민주당 의원, 문재인 더불어민주당 전 대표, 박원순 서울시장, 심상정 정의당 대표, 안철수 국민의당 전 대표, 안희정 충남도지사, 이재명 성남시장, 천정배 국민의당 전 대표.[남궁진웅 기자, timeid@ajunews.com]](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6/11/20/20161120160232670622.jpg)
20일 오전 서울 영등포구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비상시국 정치회의'에 참석한 야권 대선주자 8인이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왼쪽부터 김부겸 더불어민주당 의원, 문재인 더불어민주당 전 대표, 박원순 서울시장, 심상정 정의당 대표, 안철수 국민의당 전 대표, 안희정 충남도지사, 이재명 성남시장, 천정배 국민의당 전 대표.[남궁진웅 기자, timeid@ajunews.com]
앞서 대선 주자들은 대통령 퇴진과 국정 정상화 방안을 두고 백가쟁명식으로 의견이 달랐다. 문 전 대표와 안 지사, 김 의원 등은 비교적 신중한 입장을 취해왔고, 즉시 탄핵을 주장하는 이 시장을 필두로 안 전 대표, 박 시장은 박 대통령 퇴진에 강경한 목소리를 냈다. 그러나 박 대통령이 퇴진할 의사가 없다는 점이 확인되는 상황에서 탄핵 외에는 달리 방법이 없다는 데 인식이 도달한 것으로 보인다.
야 3당이 대선 주자들의 합의 사항을 이어받아 탄핵을 당론으로 추진할지 주목된다. 심 대표는 회동이 끝난 뒤 기자들과 만나 "수습의 주체는 3당"이라며 "야 3당 대표들에게 (이날 논의된) 방향을 제안드리겠다. 야3당이 책임 있게 수습할 수 있게 가교 역할을 하겠다"고 말했다. 그는 26일 3차 촛불집회 때까지 박 대통령이 퇴진하지 않으면 탄핵 절차에 착수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앞서 문 전 대표는 비공개 회의 전 모두발언에서 "대통령은 이제 스스로 결단을 내려 먼저 퇴진을 선언하고 이후에 질서있게 퇴진할 수 있는 방안을 국회와 협의하길 바란다"며 "지금이라도 대통령이 그런 결단을 내려준다면 대통령이 명예롭게 퇴진할 수 있도록 협력하겠다. 뿐만 아니라 퇴진 후에도 대통령의 명예를 지킬 수 있도록 최대한 노력을 하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