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행기업의 의뢰 없이 기관투자자 등 제3자의 요청으로 기업 신용등급을 평가하면 해당 신용등급의 신뢰도가 한층 높아질 것이라는 의견이다.
윤영환 서신평 신용평가본부장은 21일 서울 여의도 콘레드호텔에서 열린 ‘2016 SCR 서울신용평가 세미나’에서 “그 동안 대규모 금융위기와 신용평가 실패가 거듭되고 신용평가 개혁 필요성이 부상하면서 제3자 의뢰 신용평가의 중요성이 크게 부각됐다”며 이같이 말했다.
제3자 의뢰 신용평가는 지난 9월 금융위원회가 도입을 예고한 것으로, 서신평은 내년 초부터 투자자 의뢰를 통한 신용평가 서비스를 선보이기 위한 작업을 준비 중이다.
윤 본부장은 “미국에서 주목받는 평가사인 이건존스(Egan Jones Ratings·EJR)는 제3자 요청에 의한 평가체제로, 투자자가 수수료를 부담하는 형태”라며 “발행자가 수수료를 부담하는 메이저 평가사보다 EJR의 신용평가 신뢰도가 더 높게 평가받는다”고 말했다.
그는 “제3자 의뢰 신용평가의 기본적 운영 모델은 저비용 회원제(Token pay & Community) 운영방식이 될 전망"이라며 "앞으로 국내 신용평가 시장의 판도가 바뀌기를 기대한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글로벌 측정등급(Scale)의 도입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제시됐다.
김현 연구원은 “국내 평가사의 A등급 부도율은 글로벌 평가사의 BBB~BB등급 수준에 해당한다"며 "국내외 신용평가의 기본적 차이를 감안하더라도 지나치게 높은 수준”이라고 지적했다.
김 연구원은 “국내 평가사가 A등급에 적용하는 기준치가 글로벌 신용평가에서는 투기등급에 해당하는 경우도 다수 있다”며 “평가 기준에서도 한국적 특성만 강조할 것이 아니라 점차 글로벌 기준과의 격차를 좁혀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서신평은 이와 관련해 평가요소에 글로벌 등급을 적용하는 내부 테스트를 진행 중이다.
이밖에도 유동화 시장에서 기술금융을 적용해 기업들의 자금조달 수단을 다양화하겠다는 의지도 밝혔다.
이지영 연구원은 “지식재산권과 같은 기술자산을 활용한 자금조달 방안이 필요하다”며 “서신평은 기술평가업체인 윕스와 연계해 지식재산권 등의 유동화 방법 및 시스템 도입을 진행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