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6/11/23/20161123065404402815.jpg)
여권 대선주자들은 헌법 절차에 부합하는 수습 방안을 강조한 반면 야권 주자들은 대통령의 즉각적인 퇴진을 요구하는 등 결이 다른 의견을 내비쳤다.
김무성 전 새누리당 대표는 이날 추모식 후 기자들과 만나 박근혜 대통령의 탄핵에 대해선 "(발의된다면)탄핵에 찬성표를 던지겠다"며 "현재까지 나온 내용을 놓고 볼 때 탄핵받는 것이 마땅하다"고 말했다.
박 대통령의 검찰 조사 거부와 관련 "대통령이 돼서 국민 앞에 한 약속을 지키지 않는 것은 옳지 못하다"며 "검찰 조사를 받기를 촉구한다"고 강조했다.
김 전 대표는 남경필 지사와 김용태 의원의 탈당에 대해 "(두 분이)우리 당에 있으면서 당을 새로운 당으로 만들 수 없다는 좌절감을 갖고 탈당하는 것 같아 너무나도 가슴이 아프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동반 탈당 가능성에 대해선 "그건 지금 얘기하지 않겠다"고 말을 아꼈다.
김문수 전 경기지사는 대통령 탄핵에 관해선 “촛불을 많이 든다고 해서 (대통령 자리에서)물러나는 건 맞지 않다”라며 “탄핵이 바람직한 것은 아니지만 나쁜 것도 아닌 민주적 절차 중 하나”라고 말했다. 이어 “헌법 대로 진행해야 한다고 본다”라며 “촛불을 많이 들면 하야하는 그런 시기는 지나갔다”고 덧붙였다.
김 전 지사는 “남 지사와 김 의원이 탈당해 안타깝다”라며 “당이 빨리 수습돼 국난을 극복할 수 있게 거듭 태어나길 바란다”고 말했다.
동반 탈당에 관해선 “저는 당을 탈당할 염치도 명분도 없다”면서 “부정을 저지른 세력을 몰아내고 다시 깨끗하게 태어나기 위해 바깥에 계시는 애국세력을 모시고 새로 창당해야 한다”고 답했다.
문재인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새누리당의 비박계 뿐만 아니라 새누리당이 해야 할 일은 야당을 비난하거나 국민들을 원망할 것이 아니라, 대통령께 촛불 민심을 겸허하게 받들도록 건의를 해주는 것”이라며 “새누리당 전체가 움직이지 않는다면 비박계 의원들이라도 탄핵의 대열에 함께 해야 한다고 본다”고 말했다.
또 청와대가 국회 추천 거국내각총리에 대한 거부 의사를 시사한 것에 대해 “그런 문제가 탄핵을 발의하는데 시간을 끄는 사유가 되어서는 안 된다고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안철수 전 국민의당 대표는 "대한민국에 지난 1년간 정말 많은 일이 있었다"며 "이 위기상황을 어떻게 헤쳐 나갈지, 앞에서 (대한민국을)이끌어주신 많은 정치지도자들은 이럴 때 어떤 해결책을 생각했을까, 그 생각을 했다"고 말했다.
손학규 전 민주당 고문은 “대통령은 모든 걸 내려놓고 물러나고 정치권은 이에 대한 책임을 져야 한다”며 “국민은 거리에서 하야 퇴진을 요구하고 정치권은 우리나라가 안정되게 발전할 수 있도록 사태를 수습하고 해결하는 데에 적극 나서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어 “4월 혁명과 6월 항쟁 그리고 지금 상황은 가히 혁명적인 상황이다”라며 “국민 열기와 분노가 치솟을 때 우리나라 체제가 바뀌어야 하고 7공화국을 준비하는 개헌 절차에 들어가는 건 마땅히 정치권이 해야 할 책임”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이날 탈당한 남 지사 및 김 의원과 만날 의향을 묻는 질문엔 즉답을 피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