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림축산식품부는 23일 고병원성 AI 의심 신고가 잇따라 접수됨에 따라 위기경보 단계를 '주의'에서 '경계'로 격상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전국 모든 시·도(시·군)에 방역대책본부와 상황실이 긴급 가동된다. 소독·예찰 및 이동통제 등 방역 조치가 강화되고, 필요한 경우 AI 발생 지점과 인접한 재래시장이 일시 폐쇄된다.
농식품부는 오는 24일 전문가와 생산자단체 등이 참여하는 가축방역심의회를 열고, 전국적인 일시 이동중지(Standstill) 명령 발동 등을 검토할 방침이다.
지난 16일 농가에서 최초 의심 신고가 접수된 이후 23일 오후 4시 현재 고병원성 AI로 확진된 지역은 전남 해남(산란계)·무안(오리), 충북 음성·청주(오리) 등 2개도, 4개 시·군이다.
관련기사
여기에 22일 오후 경기 포천에서 닭 23만 마리를 사육하는 산란계(알 낳는 닭) 농장에서 닭 수십 마리가 폐사해 AI 의심 신고가 접수돼 정밀검사가 진행 중이다.
이는 경기지역에서 두번째 접수된 AI 의심 신고로, 지금까지 AI 의심 증상이 발생한 농가 가운데 최대 규모다.
포천을 포함해 고병원성 여부를 검사 중인 곳은 경기 양주(산란계, 20일 신고), 전북 김제(오리, 21일 신고) 등 모두 3곳이다.
이와 별도로 야생 조류 감염 사례도 속속 확인되고 있다. 지난달 28일 충남 천안 봉강천의 야생원앙 분변에서 고병원성 AI 바이러스가 처음 검출된 이후 전북 익산 만경강, 충남 아산 삽교천·곡교천 등 모두 8건의 야생 조류에서 H5N6형 바이러스가 검출됐다.
이 가운데 강원도 원주에서는 철새가 아닌 계절적 이동을 하지 않는 국내 텃새인 수리부엉이도 고병원성 AI에 감염된 사실이 처음 확인됐다.
국내 텃새에서도 바이러스가 검출됐다는 건 철새뿐 아니라, 모든 야생 조류가 바이러스를 전파할 가능성도 있다는 의미여서 방역 당국은 긴장하고 있다.
단 인체감염 가능성에 대해서는 아직 과거 고병원성 AI 유형에 비해 높지 않은 것으로 방역당국은 판단하고 있다.
농식품부와 질병관리본부에 따르면 2014년 4월 이후 H5N6형의 인체감염 사례는 중국에서만 16명이 감염됐고, 이 가운데 10명이 사망했다.
중국 외에 라오스, 베트남 등지에서도 H5N6형 고병원성 AI가 발생한 적은 있지만 다른 국가의 인체 감염 사례는 없었다.
김경규 농식품부 식품산업정책실장은 "국내에서 검출된 H5N6형 바이러스가 어디서 왔는지는 역학조사가 필요하다"며 "단 인체감염 위험성은 과거 우리나라에서 발생했던 H5N1형에 비해 강하지 않은 것으로 보고 있다"고 설명했다.
김 실장은 "AI 확산을 막기 위해 의심축 발견시 신속히 가축방역기관에 신고하고, 각 지방자치단체에 취약 지역을 집중적으로 관리해 달라"며 "일반 국민은 축산농가 및 철새도래지 방문을 자제하고, AI 발생국 여행시 축산관계시설 방문자제와 불법축산물 국내 반입을 삼가해 달라"고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