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류태웅 기자= 갈 길 바쁜 삼성그룹이 내우에 발목이 잡혔다. '최순실 국정논단', '박근혜 게이트'의 불똥이 책임경영으로 새 출발한 이재용 삼성전자호까지 옮겨 붙었다.
검찰은 이달 들어서만 8·15·23일 세 차례 삼성 서초사옥을 압수수색했다. 삼성 본사가 압수수색을 받은 것은 2008년 삼성 특검 이후 처음이다.
검찰은 삼성전자 대외협력담당 사무실과 미래전략실, 제일기획 스포츠전략팀, 최지성 미래전략실장(부회장) 사무실 등 삼성그룹 내 심장부를 파고들었다. 삼성전자가 최순실 일가에 승마 비용을 대고 이재용 부회장의 경영권 승계에 키(KEY)였던 삼성물산 제일모직 합병을 국민연금으로부터 특혜받았는지 여부를 들여다본 것으로 알려졌다.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은 지난 13일에 이어 재소환될 것으로 관측된다.
삼성전자 내부에서는 자칫 장기간 사법부에 의한 '오너 부재'라는 쓰나미가 몰려오지 않을까 하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온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박근혜 정부가 국민으로부터 불신을 받으면서 삼성그룹도 여론 악화를 우려하는 것으로 안다"며 "이를 의식한 검찰이 판을 키울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는 만큼 회사에 미치는 영향도 작지 않다고 판단하는 것 같다"고 말했다.
가뜩이나 미국 대통령으로 당선된 도널드 트럼프는 내부적으로 규제완화와 감세를 통한 국내 제조업 육성, 대외적으로는 보호무역주의와 고립주의를 내세우고 있다. 삼성그룹 입장에서는 내우에 외환까지 겹쳐 치명타를 입을 수 있다.
다른 수출 기업들이 '트럼프노믹스(경제정책)'에 대비해 발빠르게 대미 수출전략을 수정하고 있지만, 삼성그룹은 뭇매를 맞고 있어 탄력적으로 대응하기 쉽지 않다.
물론 삼성그룹이 오너체제이긴 하지만 각 계열사별 최고경영책임자(CEO)가 있고 덩치가 큰 만큼 검찰 수사에 따른 경영 공백은 크지 않을 것이란 주장도 나온다.
하지만 삼성전자가 올해에만 약 10조원을 해외 기업 인수합병(M&A)에 투자하며 신수종 사업 육성의 '원년의 해'로 삼는 등 기업의 존폐에 서있는 상황에서 느끼는 체감은 다르다는 지적이다. 검찰 수사가 장기화하면 국내 1위 기업의 경쟁력이 뒤처질 수 있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이번 일을 계기로 삼성그룹도 변화해야 한다. 이제라도 정경유착의 적폐를 끊어야 한다. 오늘날의 삼성은 국민이 만들어줬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영리를 추구하는 기업에 제일 중요한 주체가 누구인지 안다면 쉽게 해결될 일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