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찰 청사 입구유리창에 취재진의 모습이 비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검찰 특별수사본부(본부장 이영렬 서울중앙지검장)는 24일 서울 종로구 서린동 SK그룹 수펙스추구협의회 사무실, 중구 소공동 롯데그룹 정책본부, 정부세종청사 기획재정부 정책조정국, 관세청 대전청사 등 10여 곳을 압수수색해 컴퓨터 하드디스크와 면세점 사업 관련 자료를 확보했다.
검찰은 두 기업이 면세점 사업자 선정을 대가로 두 재단에 거액을 내놓은 것이 아닌지 수사하고 있다. 롯데그룹이 K스포츠재단에 추가로 냈다가 돌려받은 70억 원, 롯데면세점이 미르재단에 출연한 28억 원 등의 자금 성격을 집중 살펴보고 있다. 면세점 심사 과정 등에서 최순실 씨(구속 기소)의 입김이 작용했는지도 들여다보고 있다.
롯데와 SK 외에도 '뇌물 혐의'와 관련해 검찰의 수사선상에 올랐거나 의혹이 제기된 대기업은 몇 곳이 더 있다. 그러나 관련 대기업들은 "뇌물 등 의혹과 관련해 사실무근"이라는 입장을 드러내고 있다.
검찰이 박 대통령의 '뇌물 혐의' 수사에 대해 강경한 입장을 드러낸 점이 눈길을 끈다. 검찰의 박근혜 대통령에 대한 뇌물혐의 수수 혐의 수사에 대한 초강경 태세는 김수남 검찰총장과 이원석 서울중앙지검 특수1부장이 주도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 사정기관 관계자는 "김수남 총장과 이원석 부장이 '뇌물죄도 포함하자'는 의견을 낸 것으로 안다"고 말한 것으로 알려졌다.
일각에선 특검에 따른 부실수사 논란을 피하고자 대비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또한 이번 수사팀원(검사) 중 상당수가 특검에 파견돼 수사를 이어나갈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증거를 확보해둘 필요성이 있다는 의견도 지배적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