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6/11/25/20161125103706985919.jpg)
북중접경인 단둥 압록강대교.[사진=신화통신]
아주경제 베이징특파원 조용성 기자 = 북중 교역의 회복세가 본격화되고 있다. 25일 중국 해관총서(관세청)가 전날 공개한 국가별 월 무역통계에 따르면 중국과 북한간 10월 무역총액은 5억2524만 달러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21.1% 증가했다.
특히 중국이 북한에서 들여오는 수입액은 2억3838만 달러로 전년 대비 증가율이 27.6%에 달했다. 중국의 대북 수출도 16.1% 늘어났다. 이로써 중국의 대북제재 참여 이후 감소세를 보이던 북중 교역은 8월 들어 증가로 돌아선 뒤 3개월 연속 증가했다.
이에 따라 북한 핵개발 연계 의혹이 있는 중국 랴오닝(遼寧) 훙샹(鴻祥) 그룹에 대한 조사 이후에도 중국이 여전히 대북제재에 느슨한 태도를 보이는 것 아니냐는 의구심이 제기되고 있다.
중국은 북한의 4차 핵실험 이후 지난 4월 민생 목적을 제외한 석탄과 철광석 등 유엔 안보리 대북제재 결의 2270호에 포함된 광물에 대해 북한으로부터 수출입을 금지하기로 하는 등 대북제재에 참여하고 있다.
현재 북한의 5차 핵실험에 대한 유엔 안보리의 추가 제재결의가 추진되고 있는 상황이다. 미국과 중국간에 대체적인 합의가 이뤄졌으나 러시아의 반대로 지연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중국은 한국의 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THAAD·사드) 배치에 대한 반발과 함께 중국의 대북제재 수위를 점차 완화하고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임을출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교수는 24일 상하이에서 열린 중소기업중앙회 K비즈 글로벌포럼에서 북중 접경지역을 현장 시찰한 결과 북중간의 인적, 물적 교류가 다시 활력을 찾고 있다고 전했다.
북한이 수입하는 제품 가운데 기존의 소비재 외에 기계류, 원자재 등 자본재 비중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대규모 건설용 자재 및 차량들의 대북 수출이 늘어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이는 두만강의 훈춘(琿春)·나선 지구 일대에서 중국과 북한간 물류, 관광을 위한 초국경 인프라 건설 협력이 꾸준히 추진되는 것과 관련이 있다.
임 교수는 "북한의 대외무역에서 대중교역은 90% 이상의 절대적 비중을 차지한다"며 "중국 정부의 제재 참여에도 민생 분야는 제재 대상에서 제외함으로써 북중 교역은 별다른 타격을 받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