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주진 기자 =특검과 국정조사, 탄핵 등 정권의 운명을 가를 한주가 시작됐지만, 정작 박근혜 대통령의 침묵은 길어지고 있다.
지난 8일 정세균 국회의장을 만나 ‘국회 추천 총리 수용’이라는 사태 수습안을 내놓은 후 20일간 추가 메시지는 없다.
특히 박 대통령은 지난달 20일 수석비서관회의를 주재한 이후 28일 현재까지 40일째 수석비서관 회의나 국무회의 등 국정을 논의하는 회의를 열지 못하고 있다. 사실상 국정 컨트롤타워 기능을 상실한 것이다. 당장 역사교과서 국정화 문제 등 정책 대응에서 누수 현상을 빚고 있다.
야당이 내달 2일 발의를 목표로 탄핵안을 준비하고 있어, 그 이전에는 박 대통령이 어떤 식으로든 입장을 낼 필요가 있다는 의견이 청와대 내부에서 나오고 있고, 박 대통령도 이런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를 위해 한광옥 비서실장 주재로 정무·홍보·민정수석 등이 내부회의를 계속 열고 메시지 내용과 형식, 시기 등에 대한 의견을 계속 조율하고 있기는 하지만, 특별한 방안을 도출하지는 못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박 대통령의 진정성이 떨어진 1·2차 대국민사과가 도리어 역풍을 불러왔다는 점도 가장 큰 고민이다. 탄핵으로 인한 직무정지 전 마지막이 될 수도 있는 3차 대국민사과에서도 박 대통령이 내놓을 수 있는 획기적인 메시지가 없다는 것이다.
성난 촛불 민심은 즉각 하야나 최소한 ‘질서 있는 퇴진’, 진정성 있는 사과를 요구하고 있지만, 박 대통령은 ‘헌법 내 임기 보장’을 내세우며 국정 주도권을 놓지 않겠다는 입장은 변함없기 때문이다. 게다가 최순실 게이트 검찰 조사에서 최씨와 공범으로 피의자로 입건된 자신의 혐의에 대해서 완강히 부인하고 있기 때문에 3차 대국민사과에서도 이에 대한 소명만 내놓을 가능성이 높다.
김현웅 법무부 장관과 최재경 민정수석의 사의 표명으로 사정라인이 통째로 흔들리고 있는 가운데 박 대통령은 28일 김 장관의 사표를 수리하고, 최 수석의 사표는 보류했다.
김 장관이 사의 의사를 강하게 고수함에 따라 박 대통령으로선 어쩔 수 없는 결정이었던 셈이다. 김 장관이 사의 의사를 고수한 데는 박 대통령이 검찰 중간 수사 결과를 못마땅하게 여겨 김수남 검찰총장에게 압력을 행사하려 한 것이 그 배경이라는 의혹도 제기돼왔다.
김 장관의 사표 수리로 사정라인 동반 사의 표명이라는 헌정 사상 전무후무한 사태가 일단락된 듯 하지만, 여전히 검찰과 청와대간 갈등이 첨예한 상황에서 최 수석의 거취도 유동적이라는 시각도 나온다.
아울러 김 장관의 사표 수리가 다른 청와대 참모들이나 내각의 줄사퇴로 이어져 정권 붕괴로 갈 수 있다는 우려는 여전하다.
나아가 정치권 일부에서는 국가 과제인 개헌 필요성에 대한 주장이 계속되고 있지만, 청와대는 사실상 정부 주도의 개헌추진 동력 상실을 인정했다.
정연국 대변인은 박 대통령의 개헌 제안 이후 정부 내 개헌추진 움직임에 대해 "지금 추진되는 게 있겠는가. 우리가 지금 할 수 있는 입장이 아니지 않은가"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