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연합뉴스]
아주경제 주진 기자 =다음달 2일로 예정된 탄핵의 '1차 시한'을 앞둔 박근혜 대통령이 29일 오후 2시30분 청와대 춘추관 브리핑룸에서 제3차 대국민담화를 발표한다.
지난 4일 제2차 대국민담화 이후 25일 만이다. 담화는 생중계로 방송되며 질의·응답 없이 진행될 예정이다.
새누리당 서청원 의원을 비롯, 친박(친박근혜)계 핵심 중진 의원들이 건의한 '명예퇴진' 방안과 관련해 박 대통령이 이날 대국민담화를 통해 어떤 결단을 내릴지 주목된다.
실제 청와대 관계자는 기자들에게 제3차 대국민담화 내용과 관련해 "하야 발표는 아니다"라며 "이번 대국민담화가 박 대통령의 마지막 담화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박 대통령이 검찰 대면 조사를 거부하고 특검에 집중하겠다는 것도 자신의 무죄를 입증하겠다는 강한 의지를 드러낸 것이라는 해석이 나온다. 박 대통령이 이날 중으로 야당이 특검 후보 2명을 추천하면 최대한 빨리 임명하겠다고 청와대가 밝힌 것도 같은 맥락으로 읽힌다.
아울러 특검에 대응할 박 대통령의 변호인단 구성도 이번 주 완료한다는 방침이다.
이 때문에 국회에서 탄핵소추안이 발의돼 표결을 거치더라도, 결과와 상관없이 명예 회복을 위해 헌법재판소에서 자신의 무죄를 입증하기 위해 노력할 가능성이 크다.
하지만 헌재가 탄핵안을 인용할 가능성이 큰 것으로 점쳐지는 상황이어서 억지로 권좌에서 끌려내려오는 모양새보다는 최소한의 명예를 지키는 쪽을 선택할 것이라는 관측도 있다.
개헌을 고리로 한 '임기단축'은 박 대통령으로선 명예롭게 물러날 수 있다는 의미를 지니고 있어 가장 설득력 있는 시나리오이긴 하다.
박 대통령은 임기단축 개헌을 제안하면서 향후 본인의 퇴진시기와 대선일정 등을 정치권에서 논의해줄 것을 당부할 가능성도 있다. 하지만, 야당 주류의 개헌 반대로 실현 가능성은 작다.
박 대통령은 이날 제3차 대국민담화에서 정계 원로들과 친박계 중진의 건의를 따른다는 명분으로 순차적인 2선 후퇴를 선언하고, 여야 정치권에 과도 정부를 이끌 새 국무총리 추천과 거국중립내각 구성을 일임한 뒤, 조기 대선을 치르게 한다는 이른바 '질서 있는 퇴각' 시나리오를 제시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