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추미애 더불어민주당 대표와 우상호 원내대표, 최고위원들이 29일 박근혜 대통령의 3차 대국민 담화 직후 열린 긴급 의원총회에서 대통령 탄핵소추안 발의 서명을 하고 있다. [남궁진웅 기자, timeid@ajunews.com]
아주경제 김혜란 기자 = 박근혜 대통령의 29일 3차 대국민담화가 또다시 야권의 거센 반발을 불러왔다.
야 3당은 박 대통령이 '임기 단축을 포함한 진퇴' 문제를 국회에 떠넘긴 것은 질서 있는 퇴진을 가장해 탄핵 전선에 교란을 주려는 '꼼수'라고 봤다. 헌법에 명시된 대통령의 임기를 단축하려면 개헌 논의를 피할 수 없다는 점에서 탄핵 국면을 개헌으로 물타기 하려는 박 대통령의 정치적 계산이 담겼다는 분석이다. 야 3당은 박 대통령의 노림수에 말려들지 않고 탄핵을 차질없이 추진해나가겠다는 결의를 다졌다.
추미애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이날 박 대통령 담화 발표 직후 열린 의원총회에서 "조건 없는 하야가 민심이고 즉각적인 퇴진이 국정을 수습하는 지름길이자 유일한 길임에도 불구하고 대통령은 하야에 대한 언급 없이 국회에 그 책임을 떠넘겼다"면서 "이것은 한 마디로 탄핵을 앞둔 교란책이고 탄핵을 피하기 위한 꼼수"라고 맹비난했다. 추 대표는 이어 "탄핵 절차에 한치 흔들림 없이 단일대오로 나갈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박지원 국민의당 비상대책위원장 겸 원내대표는 "대통령은 촛불의 민심과 탄핵의 물결을 잘라버리는 무책임하고 무서운 함정을 국회에 또 넘겼다"고 성토했다.
특히 지난 27일 여야 정치 원로들의 '질서 있는 퇴진' 제안과 28일 친박(친박근혜)계의 '명예로운 퇴진론'으로 이어진 일련의 흐름 속에 이뤄진 박 대통령의 담화가 '새누리당을 향한 탄핵 교란 작전 지시'라는 주장도 나왔다.
박 위원장은 "대통령 스스로의 책임이나 퇴진 일정은 밝히지 않고 국회 결정에 따르겠다고 한 것은 (야당은) 현재 여당 지도부와 어떠한 합의도 되지 않는다는 계산을 한 퉁치기"라면서 "우리는 대통령의 꼼수 정치를 규탄하며 야 3당, 양심적인 새누리당 의원들과 계속 탄핵을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심상정 정의당 상임대표도 이날 국회 정론관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국회로 공을 넘겨 여야 정쟁을 유도하고 새누리당을 방탄조끼 삼아 탄핵을 모면하려는 꼼수"라며 "대통령과 친박의 국면 전환 시도에 말려들지 않고 탄핵안을 가장 이른 시일 내 통과시키는 데 매진할 것"이라고 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