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히 통일대박이 국정농단 사태의 핵심 인물인 최순실에게서 나온 아이디어라는 의심을 사고 있어 부정적인 이미지가 더욱 커지고 있다.
결국 과거 MB정권의 녹색금융처럼 정권 초기 반짝했다가 폐기처분되는 관치금융의 실패 사례 가운데 하나로 남게 됐다.
30일 금융권에 따르면 은행들이 통일금융 상품의 존폐 여부를 놓고 고심하고 있는 상황이다.
우리은행은 우리겨레통일정기예금과 우리겨레통일통장을 출시했고, KB국민은행과 NH농협은행도 각각 KB통일기원적금, NH통일대박 정기예금·적금을 내놓았다. IBK기업은행 역시 IBK통일대박기원통장을 선보였다. 신한은행의 경우 상품은 출시하지 않았지만 통일금융연구회를 출범시켰다.
하지만 박근혜 정부 들어 남북관계가 되레 더욱 경색된데다, 통일금융 상품 판매 실적도 점점 둔화되면서 관심 밖으로 밀려나기 시작했다.
특히 최근 '최순실 사태'로 인해 박근혜 대통령이 탄핵 정국에 직면함에 따라 통일금융 상품을 유지할 동력마저 사라진 상태다. 더욱이 검찰 조사에서 통일대박이 최순실의 아이디어라는 의혹이 제기되면서 사실상 폐기되는 상황에 놓이게 됐다.
NH농협은행은 지난달 말 NH통일대박 정기예금·적금 판매를 중단했다. 이와 함께 다음달 농협카드의 통일대박 원 코리아 카드 발급도 중단키로 했다. 다른 은행들도 관련 상품을 계속 유지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상황이 이렇자 MB정권 시절 정책금융상품으로 반짝했다 시간이 지나면서 사라진 녹색금융의 전철을 그대로 밟았다는 비판을 피할 수 없게 됐다. 은행들이 사전 수요 조사 없이 실효성 등을 면밀히 고려하지 않고 정권의 입맛을 맞추는 데만 급급한 결과라는 지적이다.
실제로 금융권 안팎에서는 통일금융 상품 출시 초기부터 실패를 예견하는 목소리가 높았다. 정치적 홍보 수단으로 탄생한 금융상품이기 때문에 정권이 바뀌면 지속되기 어렵다는 이유에서다.
결국 필요 없는 비용이 발생하면서 애꿎은 소비자들만 피해를 본 상황이다.
금융권 관계자는 "이러한 상품은 시장 수요가 아닌 정치적 홍보 수단으로 인위적으로 탄생했기 때문에 태생적으로 한계가 있다"면서 "은행 입장에서는 불필요한 비용이 발생했기 때문에 결국 소비자들에게 피해가 돌아간 것이나 다름 없다"고 지적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