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17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이 실시된 지난달 17일 오전 서울 종로구 동성고등학교에 마련된 시험장에서 수험생들이 시험 시작을 기다리고 있다 [연합뉴스]
서울 22개 자사고들이 2일 2017 학년도 신입생 최종 합격자를 발표한 가운데 학교와 학부모들 사이에서 논란과 민원이 확산되고 있다는 것이다.
서울자사고연합회는 서울 자사고 입시에서 1단계 전형에 합격한 학생 가운데 240명 가량의 학생들이 아예 서류를 제출하지 않은 허수 지원자였으며 지원 자격이 없는 학생, 신분을 확인할 수 없는 유령학생, PC방 등에서 부모와 담임선생님 몰래 즉흥적으로 지원한 학생들까지 합격했다고 이날 밝혔다.
한 학교당 300명 내외의 신입생을 뽑게 돼 정원의 10% 정도로 30명 내외 학생이 추첨이 되고도 자소서를 제출하지 않은 것으로 추정된다.
연합회는 기존에는 모든 자사고 지원자들이 온라인 접수와 동시에 지원서, 학생부 및 자기소개서를 제출해야만 했지만 교육청이 올해 1차 추첨전형 합격자들에게만 서류와 자소서 제출하는 입학전형을 강제했다며 서울 자사고들이 허수 지원을 막기 위해 지원자 중학교 재학 여부, 지원 자격 확인을 위해 1단계 합격자 추첨 이전 모든 지원자 학생부 등 서류 제출이 필요하고 자소서 작성은 건학이념 이해 정도와 지원 동기 확인 과정으로 자사고 지원시 꼭 필요한 과정이라는 등의 논리로 맞섰으나 교육청이 1단계 합격자에게만 서류를 제출하도록 하는 자신들의 안을 강압적으로 관철시켰다고 강조했다.
연합회는 교육청이 올해 1단계 추첨 합격자에 한해 서류를 내도록 해 사실상 자사고 측에서 학생들의 재학 사실 등 신원을 확인할 길을 막아버렸다며 진학의지를 알 수 없으며 신분과 자격도 알 수 없다는 이유로 교육청 안에 반발했으나 서울교육청 측이 어떠한 보완책도 내놓지 않았다고 지적하기도 했다.
연합회는 “서울교육청의 전형 방식 변경에 따라 수백명의 허수지원자가 발생해 자사고에 진학하고 싶어하는 선량한 중 3 학생들의 입학 기회를 빼앗는 피해가 발생했다”며 “이는 ‘자사고 죽이기' 정책에서 비롯된 꼼수라 아니할 수 없으며 이러한 혼란에 대한 모든 책임은 조희연 교육감에 있다”고 반발했다.
연합회는 "학교 별로 피해 사실이 집계되는 대로 이번 사테에 대한 책임 소재를 밝힐 것이고 자사고 탈락 정책을 지속하는 조 교육감에 대한 법적 대응도 검토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서울교육청 관계자는 “추첨에서 합격하고도 자소서를 제출하지 않은 지원자는 선발하지 않으면 되고 정원이 채워지지 않은 경우 추가 선발을 할 수 있어 크게 문제가 되지 않는 것으로 보이는데 반발을 하고 있다”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