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벌청문회] 이재용 부회장 "미전실 해체"…총수들 대가성 없다

6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박근혜 정부의 최순실 등 민간인에 의한 국정농단 의혹 사건 진상규명을 위한 국정조사청문회에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이 의원들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사진공동취재단]


아주경제 양성모·박선미·유진희 기자 = “미르와 K스포츠 재단과 관련한 청와대의 요청을 기업이 거절하기 어려웠다.”

청문회에 증인으로 선 허창수 전국경제인연합회(이하 전경련) 회장(GS그룹 회장)은 미르재단과 K스포츠 자금출연에 대해 이같이 답했다. 재계 총수들은 모두 재단 설립 지원에 대해 대가성이 없다고 주장했다.

6일 오전 열린 박근혜정부의 최순실씨 등 민간인에 의한 국정농단 의혹사건 진상규명을 위한 국정조사 특별위원회(이하 국정특위)에서 미르와 K스포츠 재단 설립과 관련해 기업들의 대가성 여부를 규명하는데 집중됐다. 이외에도 삼성물산과 제일모직 합병과 관련해 최 씨의 입김이 작용했는지 여부에도 집중적인 추궁이 이뤄졌다.

청문회에는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과 정몽구 현대자동차그룹 회장, 최태원 SK그룹 회장, 김승연 한화그룹 회장,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 조양호 한진그룹 회장 등 모두 9명의 총수가 출석하며 메머드급 청문회로 진행됐다.

이날 관심은 이 부회장에게 쏠렸다. 전체 질문의 80%가 이 부회장에게 쏠린 것으로 분석된다. 이 부회장은 재단 지원에 대해 “개인적으로는 모르지만 금액을 지원한 것은 맞다”면서 “대가성이 없으며 다시는 이런 불미스러운 일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대통령과의 독대에 대해 이 부회장은 “창조경제혁신센터 행사 다음날 박근혜 대통령과 30~40분 간 대화를 했다”면서 “당시 (대통령께서)창조경제혁신센터 활동을 더 열심히 해달라고 했다. 이건희 회장의 건강과 휴대폰 사업, 국내 투자 현황 등에 대해 얘기를 나눴다”고 말했다.

삼성물산 합병이 승계와 직접적인 연관이 있다는 지적에 대해 이 부회장은 “삼성 계열사들이 국민연금 투자를 제일 많이 받고 있다”며 “합병 당시 삼성물산과 제일모직 임직원들이 열심히 뛰었다. 합병의 타당성을 묻는 것은 제고를 해달라”고 말했다.

이날 오후에 진행된 청문회에서도 질문은 이 부회장에 쏠렸다. 일부 정치인이 기업 경영에 대해 적합하지 못하다며 비판하자 “언제든지 우수한 경영자가 나타나면 자리를 넘기겠다”고 맞받아치며 다소 격앙된 모습도 나타냈다. 이 부회장은 재단 지원과 관련해 “제가 책임질 일이 있다면 (경영에서)물러나겠다”는 발언도 내놨다.

이 부회장은 삼성그룹의 수뇌부인 미래전략실 해체도 약속했다. 그는 "미래전략실과 관련해 많은 의혹과 부정적인 시각이 많다는걸 느꼈다. 창업자인 선대 회장이 만든 것이고 (이건희) 회장이 유지해온거라 조심스럽다"면서 "하지만 국민 여러분들께나 의원 분들에게 부정적인 인식이 있다면 없애겠다"고 말했다.

다른 총수들도 대가성이 없다는데 입을 모았다. 신 회장은 70억원 추가 지원 결정이 검찰의 수사 무마용이 아니냐는 의혹에 대해 “관계없다”고 주장했다.

최 회장도 자금 출연이 자발적이었느냐는 질문에 “기업별로 할당을 받은 만큼 낸 것으로 대가성이라는 생각을 가지고 출연한 적이 없었다”고 말했다. 또한 70억원 중 30억원만 납부하겠다는 역제안을 했다는 의혹에 대해 "그렇지 않다"고 말했다.

구 회장도 “한류나 스포츠를 통해 국가 이미지를 높이면 경제에 도움된다고 말씀하셨다”면서 “정부가 뭔가 추진하는데 민간차원에서 협조를 바라는 게 아닌가 생각했다"며 대가성을 부인했다.

조 회장은 최 씨와의 만남을 묻자 “만난 적이 없다”고 대답했다. 삼청동의 한 이태리 식당에서 만났다고 하는데 만난 적이 없느냐는 질문에도 “전혀 없다”고 재차 부인했다.

한편, 이 부회장은 삼성그룹은 전경련 탈퇴를 공식화 했다. 하태경 의원은 “전경련은 현대적인 모습으로 다시 태어나야 한다. 구시대의 매듭 하나만 짓자”면서 “이 자리에서 전경련을 해체시키고 필요하다면 새로운 시대에 맞는 싱크탱크를 만드는데 지원하겠다고 말해달라”고 얘기했다. 이에 대해 이 부회장은 “좋은 취지의 사업이 있으면 열심히 하겠다”면서 “전경련 해체라는 말을 꺼네는건 자격이 없다. 하지만 전경련은 탈퇴하겠다”고 약속했다.

청문회는 피해자로 명시된 기업인들에게 고성과 지나친 사과 요구 등으로 구태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한 모습을 보였다. 일부 의원들은 이 부회장이 최순실 국정농단 사태의 공범이라는 여론에 동의하냐는 다소 지나친 질문과 사과하라는 요구가 이어졌으며 이 부회장이 당혹스러워하는 고습이 고스란히 전파를 탔다.

이 부회장은 “재벌도 공범이란 여론에 반성하고 있다”고 말한 이 부회장은 정경유착에 꼬리를 끊겠냐는 물음에는 “압력이든 강요에든 노력할 것”이라고 답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고궁걷기대회_기사뷰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