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6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박근혜 정부의 최순실 등 민간인에 의한 국정농단 의혹 사건 진상규명을 위한 국정조사청문회에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이 의원들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사진공동취재단]
6일 있은 <박근혜 정부의 최순실 등 민간인에 의한 국정농단 의혹사건 진상규명을 위한 국정조사> 제1차 청문회에서 새누리당 하태경 의원은 이재용 부회장에게 “메르스 사태 때 황당한 경험을 했다. 당시 이재용 증인이 삼성병원이 확산 진원지가 된 것에 대해 사과했다. 그 전에 내가 이재용 증인에게 기자회견을 통해 사과하라고 이야기 했다”며 “이재용 사과하라는 기사가 인터넷에 오전엔 있었는데 오후에 사라졌다. 신문에 물어보니 삼성에서 광고로 압박해서 어쩔 수 없었다고 했다. 이런 사실 알고 있었냐? 이재용 증인이 아직도 회사를 장악 못했다고 생각한다. 왜 국민들이 삼성 공화국이라고 하는지 생각해봐야 한다”고 말했다.
하태경 의원은 “이런 일이 있기 때문이다. 건설적으로 비판하는 기사가 있을 때 차단하려고 하는 건 민주주의 사회가 아니라 북한 같은 거다”라며 “삼성에 이재용을 김정은처럼 수령으로 만들려고 하는 사람이 있다는거냐? 용인할 수 있냐?"고 말했다.
이재용 부회장은 “다 내 부덕의 소치다. 더 열심히 하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