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날 기획재정부가 발표한 '최근 경제동향(그린북)' 12월호에 따르면 10월 광공업 생산의 생산의 경우 삼성 갤럭시노트 7 단종 등의 영향으로 전월대비 1.7% 감소했다.
서비스업 생산도 금융·보험, 운수업 부진 등으로 0.2% 줄어 2개월 연속 감소세를 보였다. 설비투자는 전달보다 0.4%, 건설투자도 0.8% 각각 줄었다.
소비를 뜻하는 소매판매도 눈에 띄게 줄었다. 지난달 대형마트 등 할인점 매출액은 전년 대비 3.9%, 백화점 매출액은 1.6% 각각 감소했다.
반면 카드 국내승인액은 1년 전보다 11.7%, 국산 승용차 내수 판매량도 1.4% 각각 증가했다.
10월 취업자는 전년 보다 27만8000명 늘어 20만명대 증가 폭에 그쳤다. 제조업 취업자가 11만5000명 감소한 영향이 컸다는 게 정부의 설명이다.
마이너스를 보였던 수출은 11월 들어 전년 대비 2.7% 늘어나며 3개월 만에 증가세로 전환됐다. 하지만 조업일수 증가 등의 일시적 요인이 커 수출이 아직 완전한 회복세에 접어든 것으로 보기는 어렵다는 평가다.
정부는 또 미국 신 행정부 출범과 금리 인상 가능성, 유로존 불안 등 대내외 불확실성 때문에 소비·투자 심리 위축 등 하방위험이 확대될 우려가 있다고 내다봤다.
기재부 관계자는 "대내외 리스크에 대비해 범정부 대응체제를 통해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필요하면 신속히 대응하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