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주경제 이수경 기자 = 여권의 대권주자로 꼽히는 유승민 새누리당 의원은 탄핵 표결 하루 전날인 8일 "어떤 비난도, 책임도 피하지 않고, 그 어떤 정치적 계산도 하지 않고, 오로지 정의가 살아있는 공화국만을 생각하면서 탄핵 소추안 표결에 임하겠다"고 밝혔다.
이날 유 의원은 '정의로운 공화국을 위한 전진'이라는 제목의 입장자료를 내고 "나라가 이렇게 어려울 때 제가 생각하는 것은 한가지 뿐이다, '나는 왜 정치를 하는가?'"라며 이 같은 각오를 다졌다. 유 의원은 현재 당내 비주류 의원들이 모인 '비상시국회의'에 참여하며 박 대통령이 입장표명을 하지 않으면 탄핵으로 가야한다고 일관되게 주장해왔다.
그는 "대한민국은 왕조가 아니라 민주공화국이고, 대통령은 왕이 아니라 법 앞에 평등한 공화국의 시민"이라며 "탄핵은 지난 날의 잘못에 대한 단죄이지만, 정의로운 공화국을 만드는 정치혁명의 시작이 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이 탄핵이 불행한 탄핵으로 끝나지 않고 정의로운 공화국의 씨앗이 되기를 저는 진심으로 바란다"고 덧붙였다.
유 의원은 "11월 29일의 담화에서 대통령은 헌법과 법률의 위배는 인정하지 않은 채 국회가 정하는 일정과 법 절차에 따라서 사임하겠다고 했다"면서 "헌법과 법률을 위배한 사실이 없었다면 광장에 아무리 많은 촛불이 켜져도 대통령이 스스로 물러날 이유는 전혀 없는데, 대통령의 담화는 앞뒤가 맞지 않는 모순만 드러냈다"고 꼬집었다.
또한 검찰 공소장과 관련해 "지금의 검찰 지휘부는 모두 대통령과 그 측근들의 손으로 임명한 사람들인데, 이들이 과연 증거도 없이 현직 대통령에게 죄를 뒤집어 씌워서 피의자로 입건했을까? 상식적으로 불가능한 일"이라며 "검찰 공소장에 대한 저의 판단은 탄핵 사유가 충분하다는 것"이라고 꼬집었다.
그러면서 "탄핵 사유가 충분할 때,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은 대통령의 사임이라는 정치적 해법과 국회의 탄핵 소추와 헌법재판소의 탄핵심판이라는 헌법적 해법이 있을 뿐"이라고도 설명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