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김봉철 기자 = 현대상선은 13일 ‘선박신조검토협의체(가칭)’를 구성하고, 내년도를 대비한 새 선박 필요량 등을 따질 계획이라고 밝혔다.
선박신조검토협의체는 2017년도 선박신조를 위한 시장상황 분석 및 조선소 검토, 선형별 소요량 산정 등을 내년 초까지 확정해 투자심의를 거친 후 선박을 발주할 계획이다.
검토 대상은 반선 또는 폐선 예정인 컨테이너선 대체선박과 소형 컨테이너선을 비롯해 친환경 선박 등이다. 현대상선은 도입에 대한 기술적·경제적 타당성, 발주 시점 등을 검토할 예정이다.
특히 현대상선은 최근 맺은 ‘2M+H 전략적 협력관계’ 계약에 따라 향후 3년간 선박 신조에 나설 수 없다는 주장은 사실과 다르다고 해명했다.
현대상선은 2M 회원사인 머스크, MSC와 협상결과에는 회원사 동의 없이 선박 신조를 할 수 없다는 내용은 포함돼 있지 않다고 주장했다.
2M과 협력하는 지역의 대형 선박을 제외하고는 반선되거나 폐선되는 선박의 대체 선박을 발주할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벌크선 경우, 경쟁력 있는 초대형 유조선(VLCC)을 내년 중으로 발주한다는 방침이다.
현대상선 관계자는 “2M 회원사와는 매년 3분기에 모여서 선복량 조정을 협의하도록 돼 있다”면서 “선박 신조를 못한다는 일부 주장은 사실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선박신조검토협의체는 2017년도 선박신조를 위한 시장상황 분석 및 조선소 검토, 선형별 소요량 산정 등을 내년 초까지 확정해 투자심의를 거친 후 선박을 발주할 계획이다.
검토 대상은 반선 또는 폐선 예정인 컨테이너선 대체선박과 소형 컨테이너선을 비롯해 친환경 선박 등이다. 현대상선은 도입에 대한 기술적·경제적 타당성, 발주 시점 등을 검토할 예정이다.
특히 현대상선은 최근 맺은 ‘2M+H 전략적 협력관계’ 계약에 따라 향후 3년간 선박 신조에 나설 수 없다는 주장은 사실과 다르다고 해명했다.
2M과 협력하는 지역의 대형 선박을 제외하고는 반선되거나 폐선되는 선박의 대체 선박을 발주할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벌크선 경우, 경쟁력 있는 초대형 유조선(VLCC)을 내년 중으로 발주한다는 방침이다.
현대상선 관계자는 “2M 회원사와는 매년 3분기에 모여서 선복량 조정을 협의하도록 돼 있다”면서 “선박 신조를 못한다는 일부 주장은 사실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