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신희강 기자 = "인공지능(AI), 자율주행차, 드론, 로봇, 미세먼지, VR…"
4차산업혁명 시대가 코 앞으로 다가오면서 이 같은 미래 신기술을 선점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최근 대한민국이 박근혜·최순실 게이트로 열병을 앓고 있지만, 정부가 오히려 국가 연구개발(R&D) 정책의 고삐를 바짝 죄고 있는 이유다.
12일 코트라 및 무역협회에 따르면 독일·미국·일본·중국 등 글로벌 4대강국은 일찌감치 4차산업혁명의 주도권을 쥐기 위한 경쟁이 치열하다.
가장 앞선 것으로 평가받는 독일은 5년전부터 ‘인더스트리 4.0' 프로젝트를 추진해 왔다. 지멘스·BMW·SAP 등 독일 글로벌 기업들은 이에 맞춰 사물인터넷(IoT)·AI·로봇 기술을 융합한 '스마트팩토리'를 운영 중이다.
관련기사
미국도 2014년 GE, IBM, 인텔, AT&T, 시스코 등 글로벌 기업들과 산업 인터넷 컨소시엄을 꾸리고, 구글 아마존 등 강력한 기업 인프라를 앞세워 기술혁신에 나서고 있다.
일본은 AI 연구개발에 향후 10년간 1000억엔(약 1조350억원)을 투자하고, 로봇 등 원천기술을 활용해 오는 2020년까지 부가가치 30조엔(약 330조원)을 창출하겠다는 각오다.
중국 역시 '중국 제조 2025' 마스터플랜을 바탕으로 1000억위안 이상 규모의 로봇산업단지를 조성하는 등 '로봇 굴기'를 통한 최강대국 자리를 호시탐탐 노리고 있다.
이에 한국도 민관 전략적 협업 모델을 구축하고, 내년부터 사업이 본격 착수되도록 예산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는 구상이다.
정부는 내년 R&D 예산을 19조4371억원으로 올해보다 1.8% 늘리고, 기초연구 등에 집중 투자한다는 방침이다. 뇌과학 원천기술 개발 예산의 경우 410억원에서 7억5000만원이 증액됐으며, 지진 조기경보 시스템 연구를 위한 한국지질자원연구원 R&D 예산도 45억원 늘었다.
특히 미래창조과학부를 중심으로 추진되는 국가전략 프로젝트 R&D 예산을 기존(171억원)보다 110억2200만원 늘린 281억2200만원을 배정했다. 이 프로젝트엔 인공지능, 스마트시티, 자율주행차, 경량소재, 정밀의료, 초미세먼지, 탄소자원화, 가상증강현실, 바이오 신약 등 9개 미래 먹거리 분야가 포함됐다.
무엇보다 AI 분야에 기존보다 30배 이상 늘어난 85억원을 지원하기로 했다. 미세먼지 분야는 20억원이 늘어난
58억원으로 배정했으며, 정밀의료분야도 2억원에서 5억2200만원으로 2배 이상 증가했다.
신성장동력에 대한 R&D 예산도 올해보다 2.5% 늘어난 3조587억원을 투입하기로 했다. 스마트카·로봇·반도체 등 유망 신산업 분야의 주요 사업 지원금은 1476억원에서 2117억원으로 43.4% 늘렸으며, 신기후 체제 대응을 위한 에너지 신산업 분야에는 올해보다 6.5% 늘어난 2432억원을 지원하기로 했다.
국내기업의 수출경쟁력 제고를 위해 엔지니어링, 지식산업서비스 핵심기술 분야도 각각 203억원, 340억원으로 지원을 늘렸다. 무인항공기·가상·(VR)·증강(AR) 등 성장 유망산업 선점을 위한 6개 사업에는 1007억원을 새로 책정했다.
최재유 미래부 2차관은 "4차산업혁명으로 새로운 변화의 흐름이 촉발되고 있으며 생존과 성장을 위해 달려가야 할 시점"이라며 "기회를 만들고 선제적 대응을 위해 지능 정보사회 중장기 대책을 국가 신성장 동력으로 발전시키도록 전력투구 할 것"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