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 중 대국민 사과까지 이어지며 사회적 파장을 일으킨 늑장공시 논란은 결국 임원 구속기소로 일단락됐다. 지난 13일 서울남부지검 증권범죄합동수사단은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위반 혐의로 한미약품 지주사인 한미사이언스 임원 황모(48세)씨 등 4명을 구속기소, 일부는 불구속‧약식 기소키로 했다고 밝혔다.
한미약품은 이날 “주주 여러분과 국민께 사과드린다. 일부 임직원들이 미공개 정보 유출과 이용에 연루된 것으로 드러나 회사로서도 당혹스럽다”며 “엄격한 제도 도입과 교육을 통해 유사 사례가 재발하지 않도록 하겠다”는 내용의 사과문을 발표했다.
지난해 한 제약사가 수조원대 신약 기술이전 수출로 일간지의 1면을 장식하고, 제약사 신약개발에 대한 사회적 관심도가 높아지면서 시가총액이 급격히 올라 4조원을 넘어서는 등의 변화는 당시 제약업계에서도 화두였다. 제약사들이 제네릭의약품(복제약) 판매에만 집중해오던 시기를 지나 신약개발을 통한 진정한 성장이라는 새로운 목표로 체질개선에 나서기 시작한 것은 그리 오래되지 않았다.
물론 앞선 사과문에서도 느껴지듯 ‘조금만 더 주의했더라면’이라는 아쉬움은 남는다. 그러나 수조원 규모의 신약개발이라는 과한 숙제를 이뤄낸 것만으로도 충분히 칭찬할 만하다. 무릇 얘기되는 ‘실패는 성공의 어머니’란 말에 비춰보면, 오로지 ‘신약개발’만 바라보고 뛰어온 한미약품과 다른 제약사들에게 새로운 시각을 넓혀주는 기회이자, 경험이 됐음은 분명하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