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1월 광고비 매체별로 차별화... 대형 광고주 광고비 상승 기대 어려워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6-12-15 09:25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아주경제 박정수 기자 = 한국방송광고진흥공사(이하 코바코)가 15일 발표한 ‘광고경기 예측지수(KAI)’에 따르면 2017년 1월 종합 KAI는 100.7로 2016년 12월 광고비 집행과 유사하거나 소폭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매체별 KAI지수를 살펴보면 지상파TV 92.1, 케이블TV 98.1, 라디오 97.0, 신문 88.4, 온라인-모바일 124.0으로 조사됐다. 업종별로는 화장품 및 보건용품(142.9), 여행 및 레저(142.1), 컴퓨터 및 정보통신(IT)(120.0) 업종의 강세가 예상된다.

지상파TV 광고비 집행을 늘릴 것으로 응답한 업종은 제약 및 의료(113.3), 가정용품(110.0), 서비스(109.5) 업종이다. 라디오에서는 식품(112.5), 수송기기(111.1) 업종이다.

온라인-모바일 매체는 가정용 전기전자 업종을 제외한 전업종에서 광고비 집행이 유사하거나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여행 및 레저(163.2), 유통(162.5), 가정용품(150.0), 서비스(142.9) 업종에서 광고비를 늘릴 것으로 응답했다.

기업규모별 전망지수를 살펴보면, 1월에는 대형광고주의 광고비 감소(66.7)가 계속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중형광고주(101.4)와 소형광고주(105.2)의 광고비는 전월 대비 광고비 집행 수준이 유사할 것으로 조사됐다.

대형광고주는 온라인-모바일 매체를 제외한 전매체에서 전반적인 광고비 집행 감소가 예상되고, 중형광고주와 소형광고주 모두 온라인-모바일 매체를 위주로 광고비를 집행할 것으로 응답했다. 경제 불확실성이 여전한 가운데 대형광고주의 광고비 상승 기대가 어려워 시장의 활기를 찾지 못할 것으로 보인다.

광고 크리에이티브 전략에 대해서는 최근 몇 년 사이 밝고 유머러스한 광고가 많아지는 편으로, 어려울 때 힘이 되는, 밝고 긍정적인 느낌을 강조하는 추세라고 응답했다.

KAI는 주요 600대 기업을 대상으로 웹조사 패널을 구축해 매월 정기적으로 다음달 주요 광고매체별 광고비 증감여부를 조사하여 지수화한 것이다. 해당 업종의 광고주 중 광고비 지출이 늘어날 것이라고 응답한 숫자가 많으면 100이 넘고, 그 반대면 100 미만이 된다.

또한, 종합지수는 각 매체별 지수를 단순평균 또는 가중평균한 값이 아니고 매체 구분 없이 종합적으로 총광고비의 증감여부를 물어본 것이다.

광고경기 예측지수(KAI) 조사는 정부 3.0 정책에 부응하여 방송통신광고통계시스템(http://adstat.kobaco.co.kr), 코바코 홈페이지(http://www.kobaco.co.kr)의 '정부 3.0 정보공개', 스마트폰 '광고경기예측지수(KAI)' 어플리케이션 등을 통해 무료 다운로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