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3 폭탄 맞은 부동산 시장 내년 하반기 침체 불가피"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6-12-15 16:00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입주물량, 금리인상 겹쳐 부동산 양극화 심해질 것"

  • "금리인상, 매수관망세 커지고 매매보다는 전세에 눈 돌려"

▲주요지역 주간아파트 가격동향. 자료=한국감정원 제공

아주경제 최수연·오진주 기자 =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으로 인해 국내 시중금리 인상 압박도 커지면서 가뜩이나 부동산 규제 정책 등으로 위축된 시장에 악재가 겹쳤다. 전문가들은 한국은행이 당장 기준금리 인상을 단행할 가능성은 낮을 것으로 내다봤지만 추가 금리인상이 예상되고 입주물량이 겹치는 내년 하반기에는 부동산 시장 침체를 피할 수 없다고 입을 모은다.

15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가계부채는 올해 9월말 기준 1295조8000억원을 기록했다. 미국이 금리를 올린 만큼 가계부채의 상당부분을 차지하는 주택담보대출(주담대) 금리 역시 향후 인상될 가능성이 커졌다. 이렇게 되면 고정금리형 주담대를 받은 대출자를 제외한 대부분이 져야하는 이자 부담도 커지게 된다. 한은은 대출금리가 0.25%포인트 상승하면 대출자들의 연간 이자부담이 2조250억원 늘어날 것으로 보고있다.

무엇보다도 금리 인상은 부동산 시장의 본격적인 침체로 이어질 것이라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특히 내년 하반기 입주물량, 금리인상 등이 동시다발적으로 이뤄지면서 부동산 시장은 위축될 수 밖에 없다는 전망이다. 특히 공급과잉에 따른 부작용으로 부동산 양극화도 가속화될 수 있다는 설명이다.

손정락 하나금융경영연구소 연구위원은 "내년에 가장 큰 부동산 시장 영향 변수가 금리인데, 이번 미국 금리인상은 현재 선반영된 부분이 있기 때문에 내년에 미국 금리가 얼마나 어느속도로 오르냐가 이슈다"면서 "내년 하반기 께 국내 금리 인상도 예상되면서 입주물량, 과잉공급 등이 겹치면서 주택시장이 침체될 전망"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시장에 대한 불안감이 커지면서 투자수요가 선호지역으로 몰리면서 양극화가 더욱 커질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부동산 시장 현장 분위기도 크게 위축됐다. 실제로 정부의 11.3 부동산 대책, 대출 규제, 경기 위축 등 주택시장 외부의 악재가 맞물리면서 전국 집값 상승세는 빠르게 냉각되고 있다. 한국감정원에 따르면 지난 12일 기준 주간 전국 아파트 매매가격이 지난주 대비 0.01%로 지난주 상승폭을 유지했다. 지난달 말 2년 만에 하락세로 돌아선 서울의 아파트 매매가는 0.01% 떨어졌으며 강남권역은 0.01% 상승하며 지난주 상승폭을 유지했다.

부동산114에 따르면 강남권 재권축 아파트값은 11.3 부동산 대책 발표 이후 한달 간 1.16% 하락했다. 잠실주공5단지 전용면적 76㎡는 지난 10월에는 최고 15억5000만원에 거래됐으나 최근 이보다 2억4300만원 하락한 13억7000만원에 거래됐다.

서울 강동구 고덕주공3단지 인근 공인중개업소 관계자는 "경제 전반의 불확실성이 확대되고 금리가 인상되면서 매수관망세가 이어지고 있다. 시장이 활성화 되려면 실거주자가 갈아타기를 해야하는데 금리가 오르면서 이자 부담이 늘기 때문에 거래가 이뤄지지 않는다"면서 "또 대출 받기 어려워지고 금리가 오르면서 매매보다는 전세로 눈을 돌리는 경향이 크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