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한준호 기자 = 세계최대 전자상거래 업체 아마존이 내년 1월 인공지능(AI)을 적용한 새로운 형태의 편의점 ‘아마존고(Amazon Go)'를 선보인다. 센서와 카메라로 수집된 방문객 수와 구입목록 데이터를 AI가 딥러닝(기계학습)으로 분석해 상품을 관리한다. 스마트폰으로 본인 확인만 하면 자동으로 계산이 완료되기 때문에 계산대에 줄 설 필요도 없다.
아마존을 시작으로 본격화가 예고된 인공지능의 매장 적용 사례가 2030년 지능정보사회에는 ‘무노력 쇼핑(Zero-Effort shopping)’으로 진화할 전망이다.
권용현 지능정보사회추진단 기획총괄팀장은 18일 “지능정보사회에선 AI를 활용한 아마존 매장을 뛰어 넘는 ‘무노력 쇼핑’이 대세가 될 것”이라며 “이는 공상소설이 아니라 지금 현재 업체들이 이미 준비하고 있는 기술”이라고 말했다.
무노력 쇼핑은 물품 구입과정이 모두 생략되는 쇼핑을 말한다. 예컨대 집에서 휴지가 떨어지면, 이를 사전에 예측한 인공지능이 휴지가 떨어지기 전에 집으로 휴지를 배달해준다. 고객의 휴지 구입 데이터를 분석한 인공지능이 매번 휴지가 떨어질 시점을 예측해 드론을 띄워 집 앞에 떨어뜨리고 간다. 물론 계산은 자동으로 이뤄진다.
권 팀장은 “무노력 쇼핑이 고객의 상품 구입 데이터를 통해 이뤄진다는 점에서 고객 데이터를 확보한 업체와 그렇지 못한 업체 간 경쟁력 격차가 커질 수밖에 없다”며 “데이터가 쌓이면 쌓일수록 기술이 혁신되는 속도가 빨라지기 때문에 우리도 서둘러 대책을 마련해야한다”고 강조했다.
이에 정부는 기존 산업이 데이터와 지능정보기술에 기반한 맞춤형 서비스로 고부가가치를 창출해 다양한 아이디어와 지능정보기술을 접목한 새로운 산업 영역을 발굴할 수 있도록 하는 생태계 마련에 나섰다.
미래창조과학부가 최근 발표한 ‘지능정보사회 중장기 종합대책’은 2030년 지능정보화사회 도래에 따른 기술과 산업, 사회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정책 방향이 담겨있다. 특히 산업 분야에서 지능정보기술 적용한 전 산업의 지능정보화를 촉진해야한다고 강조했는데, 유통분야의 지능정보기술 활용 사례로 '무노력 쇼핑'을 소개했다.
향후 미래부는 '무노력 쇼핑'처럼 민간 산업 전반에 지능정보기술 도입을 확산시키기 위해 민간의 혁신 파트너로서 규제개선과 테스트베드, 생태계 조성 등을 통해 민간 투자를 촉진하고, 공공서비스에 선제적으로 도입하는 마중물 역할을 하게 된다.
특히 정부는 민간의 혁신 파트너의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지역 구분없이 새로운 기술과 서비스를 테스트할 수 있도록 하는 '규제 샌드박스'를 도입해 지능정보기술의 전 산업으로의 적용을 서두른다. 무노력 쇼핑의 수송 수단으로 지목된 드론 활성화를 위한 규제개선에도 속도를 낸다.
미래부 관계자는 “무노력 쇼핑처럼 집에 물건이 떨어졌다는 것을 파악하기 위해선 데이터가 필요하고, 그 모든 정보가 인공지능의 데이터 분석으로부터 나온다”며 “유통은 기본적으로 민간부문이지만 정부가 민간들이 요구하는 장애물이나 규제들을 빨리 제거해줘야 민간의 경쟁력이 살아날 수 있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