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경제에도 적지 않은 파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한국은 미국과 중국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 자칫 양국 사이에 낀 '샌드위치' 신세가 될 우려가 크기 때문이다. 문제는 우리 통화 당국이 자체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방안이 별로 없다는 점이다.
19일 금융권에 따르면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가 지난 14일(현지시간) 기준금리를 0.5~0.75%로 0.25%포인트 인상함에 따라 중국 경제가 난관에 봉착했다.
위안화 가치는 지난달 중국 정부가 자금 유출 방지책을 내놓으면서 안정을 찾아가는 듯 했지만 미국 금리인상으로 다시 추락했다. 미국의 금리인상 직후인 지난 16일 달러 대비 위안화 고시환율은 6.9508위안으로, 위안화 가치는 전날보다 0.32% 절하됐다. 마지노선으로 여겨졌던 7위안이 붕괴되기 직전이다.
문제는 내년 미국의 금리인상 속도가 당초 예상보다 더욱 빨라질 것이란 점이다. 시장에서는 내년 미국이 2~3차례 금리를 더 올릴 것으로 보고 있다.
여기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이 취임 전부터 환율조작국 지정 등 중국에 대한 압박을 가하고 있어 양국 간 통화전쟁이 일어날 조짐이 나타나고 있다. 이에 올해 6.7%로 예상되는 중국의 경제성장률도 내년에는 6%대 초반까지 떨어질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상황이 이렇자 중국 인민은행이 내년 미국의 금리인상에 대응하기 위해 금리인상에 나설 것이란 전망이다.
이처럼 미국과 중국간 갈등이 높아져 무역·환율전쟁으로 확대될 경우 한국 경제에 대한 타격이 불가피하다. 한국은 미국와 중국에 대한 수출 등 의존도가 높기 때문이다.
우리나라의 경우 다른 신흥국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대외건전성이 양호한 수준이다. 하지만 안심할만한 수준은 아니라는 지적이다. 실제 우리나라 외환보유액은 미국 금리인상 전망으로 달러화 가치가 급등하면서 2개월 연속 감소했다.
11월 말 현재 우리나라 외환보유액은 3719억5000만 달러로 전월 말보다 31억8000만 달러 줄었다. 앞서 지난 10월 26억 달러 감소한데 이어 2개월째 하락했다. 특히 11월 외환보유액 감소폭은 지난 2015년 7월 39억3000만 달러 줄어든 이후 1년 4개월만에 가장 큰 규모다.
미국이 내년 수차례 금리를 인상하면 외국인 자본 유출 속도는 더욱 빨라질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이에 정부도 연일 경계감을 갖고 국내외 금융시장을 살피고 있다. 앞서 유일호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과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는 지난 16일 만나 거시경제와 금융‧외환부문 안정을 위한 정책방향을 논의했다.
유일호 부총리는 이날 "경제 상황이 너무 엄중하다 보니 기재부와 한은이 협력하는 게 정말 중요하다"라며 "대내외 리스크 관리를 하기 위해선 그야말로 소통과 팀플레이가 중요하다"고 주장했다.
이주열 총재 역시 "현단계에서 정부와 한은이 역점을 둬야 할 것은 금융시장과 외환시장의 안정이 아닌가 한다"며 "그간 한은이 금융안정을 지킬 수 있는 정책역량을 충분히 피력했고, 필요 시에는 적극적으로 대응할 준비가 돼 있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