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기청-복지부 손잡고 바이오헬스 창업 속도낸다

  • 중소기업청 - 보건복지부 업무협약 후속 국장급회의 개최

아주경제 박정수 기자 = 중소기업청(청장 주영섭)과 보건복지부(장관 정진엽)가 손잡고 보건의료 분야 창업, 기술 개발과 해외진출 분야에서 협력 방안을 구체화하고 내년부터 시행에 나선다.

중소기업청과 보건복지부는 지난 10월 체결된 '바이오헬스 창업·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한 업무협약' 20일 국장급 실무회의를 열고 2017년도 협업 과제를 확정했다.

중기청과 보건복지부는 연구중심병원 등 보건의료 분야에서 기술사업화·창업 프로그램에 참여하도록 지원 체계를 확충하고, 바이오 분야 TIPS 창업팀에게 보건의료에 특화된 컨설팅을 연계한다. 또 중소·중견기업과 병원 간 연구개발 및 의료기기 실용화 분야에서 협업 기회를 확대하는 한편, 해외진출 활성화를 위한 부처 간 연계 방안을 마련했다.

우선, 복지부 연구중심병원 사업과 중기청 창업지원 사업을 연계해 연구중심병원 발 창업과 기술 실용화를 촉진한다. 연구중심병원이 바이오 분야 TIPS 프로그램에 운영사로 참여하거나 창업보육센터, 창업선도대학 등 선정 시 가점을 제공한다.

이와 함께 내년부터 연구중심병원의 장비․공간 등의 인프라를 활용하여 창업 기업에게 개방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아울러 중기청 창업지원사업의 주관기관으로 보건산업진흥원의 지정을 추진하여 보건의료 분야 연구개발 실용화를 본격화한다.

중기청 바이오 분야 TIPS 프로그램 창업팀에게는 복지부 의료기기 실용화 및 보건의료 기술사업화 지원을 연계하여 바이오헬스 창업생태계 활성화를 추진한다.

TIPS 창업팀에게는 신개발 의료기기의 허가 등에 소요되는 임상시험 비용지원 사업에 우선 참여토록 하고(2017년 4월), 의료기기산업 종합지원센터를 활용하여 인허가 등 빠른 시장진입을 지원한다. 또 보건의료 창업 컨설팅 프로그램인 ‘K-헬스케어 스타트업 멤버십’에 우선 참여(보건산업진흥원, 2017년 4월)할 수 있도록 한다.

중기청과 보건복지부는 병원의 우수한 인력과 인프라를 활용해 중소·중견기업의 기술애로 해결과 기술개발 협력도 강화해 나간다.

연구중심병원과 중소·중견기업 협력 연구개발(R&D)을 기획하고(2017년 연중), 중소·중견기업과의 협력 R&D 실적을 연구중심병원 지정․평가 기준에 반영(2017년 3월)한다. 아울러 중기청의 '월드클래스300'기업 등이 해당 중개임상시험센터를 통해 신속한 제품화를 지원받을 수 있도록 연계한다.

바이오헬스 기업의 해외진출 활성화를 위해 양 부처간 수출지원 사업을 연계하고 비즈니스매칭 기회도 확대한다. 중기청 해외 기술교류사업을 통한 신흥국의 의약‧보건 분야 수요 발굴 시 혁신형 제약기업의 참여를 유도하고(연중), 복지부가 발굴·추천 기업을 바이오헬스 분야 ‘수출유망중소기업’으로 지정하고, 해외마케팅 등 수출지원사업과 연계한다.

이를 통해 지정받은 기업은 2년간 ‘수출유망중소기업’으로서 수출지원사업 참여, 금융․보증지원 및 금리 등 우대를 받는다. 복지부(보건산업진흥원)도 의약․보건 분야 수요 및 매칭기업 발굴을 위해 협력하고, 해외 기술교류사업을 통해 비즈니스 매칭 성사(MOU․계약 체결) 기업이 바이오헬스 기술사업화 프로그램 참여 시 우선 지원한다.

그 밖에도 대한민국 창업리그(창업진흥원) 개최 시 바이오창업 아이디어 경진대회(보건산업진흥원) 수상팀 참여를 연계하고(2017년 5월), 올해부터 실시 된 중국인증 획득 지원사업(중기청)에 화장품․의료기기 등 보건산업 기업이 적극 참여하도록 홍보를 강화하는 등 기업 현장의 요구도 함께 추진하기로 했다.

이 날 회의에서 김병근 중소기업정책국장과 이동욱 보건산업정책국장은 “올해 전 산업 수출이 8.5% 감소한 가운데, 보건산업 분야는 큰 폭으로 증가(20.3%)하여 올해 100억 달러에 근접한 수출액 달성을 기대하는 등 약진하고 있다”며 “이번 실무회의를 통해 보건산업과 중소․중견기업 지원 정책이 현장 중심으로 긴밀하게 연결되어 바이오헬스 성장잠재력을 더 키우고 어려운 경제여건에 활력소가 되도록 지속적으로 노력할 것”이라고 전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